earticle

논문검색

투고논문

불교 우주론과 수증론 체계에서 본 의생신(意生身, S. manomaya-kāya)의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Mind-made Body’(S. manomaya-kāya, C. yisheng shen 意生身) in Buddhist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s

이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ind-made body’ (S. manomaya-kāya, C. yisheng shen 意生身) is seen as a subtle body attained by a Buddhist adept during meditative practice. Previous research has elucidated this concept as having important doctrinal significance in the Buddhist cosmological system. The Pāli canonical evidence shows that the manomaya-kāya is not merely a spiritual byproduct of meditative training, but also a specific existential mode of being in the system of the three realms. Studies of the manomaya-kāya to date, however, have focused mostly on early Pāli materials, and thus do not encompass theoretical development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notion in later tradition. As a beginning step to fill this gap,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s of the manomaya-kāya represented in the Śrīmālādevī Sūtra and the two treatises of the Ratnagotravibhāga Śāstra and the Foxing lun, which are doctrinally based on the Śrīmālādevī Sūtra in their discussion of the manomaya-kāya.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manomaya-kāya in these Mahāyāna texts,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how the concept is used in the broader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 of Mahāyāna tradition. For this purpose, I first review the meanings of the manomayakāya in early Buddhist texts and then observe the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meaning of the notion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Mahāyāna texts.

한국어

‘의생신’(意生身, S. manomaya-kāya)은 불교 수행자가 명상 수행 중에 얻은 미세한 몸을 가리킨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 개념이 불교 우주론에 있어서 중요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팔리 문헌에는 의생신이 단지 명상 수행의 영적 부산물일 뿐 아니라 삼계 내의 특수한 존재 양상을 가리킨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의생신에 대한 연구는 대개 초기의 팔리 자료에 집중되어 왔고 따라서 이 개념의 이후 전통에서의 이론적 발전 또는 수증론적 중요성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한 초기 작업으로서 『승만경』, 그리고 의생신 논의에 있어서 『승만경』에 이론적으로 바탕을 두고 있는 두 논서인 『보성론』과 『불성론』에 나타난 의생신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승 전통의 보다 광범위한 우주론적, 수증론적 체계에 있어서 이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논의하려 한다. 이를위해 먼저 초기 불교 문헌에서의 의생신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의생신 개념의 우주론적, 수증론적 의미를 앞서 언급한 세 가지 대승 문헌들 간의 이론적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고찰한다.

목차

국문요약
 서론
 1. 불교 우주론에서 본 의생신과 명상
 2. 중유로서의 의생신
 3. 불교 성인의 몸으로서의 의생신
  1) 대승 우주론적 체계에서의 의생신
  2) 대승 수증론 체계에서의 의생신
 결론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수미 Sumi Lee.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