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강불평등의 다차원성 분석 및 정책적 함의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Multi-dimensionality of Health Inequality: Implications for Policy

Sunhee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multi-dimensional determinants for health inequality, which is defined as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n health. Unlike the existing model on health inequality, a highly integrative model was developed including more variables and factors. We divided health status into physical status and physical function,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sub-categories and eigh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odel include structural factor, psychological factor, behavioral factor, and relational factor. The results show that age, income, education, stress and happiness are critical factors for health. It is found that structural factor influences all aspects of health status whereas psychological factor has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emotional aspect of health.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건강상태의 개념을 다차원적으로 구분하고, 건강불평등의 결정요인과 관련된 변수들을 구조적으로 통합한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건강상태의 개념을 각각 2개 대분류 차원(신체적 건강상태와 신체적 기능상태), 4개 중분류 차원(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건강상태, 생활수행능력 제약과 원인에 따른 수행능력 제약)과 8개의 세부변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건강불평등을 결정하는 독립요인들을 각각 구조적 요소, 심리적 요소, 행태적 요소, 관계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성별(남성), 연령, 스트레스, 운동, 자녀수 등은 건강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교육, 소득, 행복감 등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요소별로 볼 때 구조적 요소는 모든 유형의 건강에, 심리적 요소는 정서적 건강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강불평등의 다차원성을 규명하고, 건강불평등과 관련된 보편적ㆍ특수적 규칙을 파악하였다는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정책적 차원에서 건강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처방의 방향과 전략을 설정하는데 일정한 함의를 제공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모형 설정
  1. 종속변수: 건강상태의 다차원성
  2. 독립변수
 Ⅲ. 분석자료 및 변수
 Ⅳ. 건강불평등 결정요인 비교분석
 Ⅴ. 연구의 요약 및 정책적 함의
 References

저자정보

  • Sunhee Kim 김선희. Department of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Seow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