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riticism of Assembly's Role in view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citizen control - Focusing on case of local government and local assembly of Gangwon-Do -
초록
영어
Viewpoint of 'Citizen as owner' is disclosing a lot of limitations in actuality. It is showing limit of citizen control about government leaders who are elected by vote or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not elected by vote. Although citizen consciousness, which is not ripened, is problem, limit of system of democratic citizen control is more big problem. How shall the congress do what for this? The congress must activate 'public sphere' in legal/systematic dimension. The congress with institutional and legal binding force had to make the public sphere, that is the area that individuals social · public problem rationally and critically discuss and forms political · cultural public opinion, regardless main axis of public sphere becomes congress or citizens. Whether or not the public sphere is prepared by congress or citizens, it is important that citizens become main axis for citizen participation and citizen control against bureaucratic powers that are taken part in policy process. Congress has a important role in making public sphere as intermediation system on the one hand, congress has to form public sphere actively on the other hand.
한국어
현실에서는 ‘소유주로서의 시민’의 관점은 많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다. 선출된 단체장이나 선출되지 않은 정부관료들에 대한 시민통제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성숙되지 못한 시민의식이 문제이긴 하지만, 민주적인 시민통제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제도의 한계도 큰 문제이다. 이를 위해 의회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 가? 의회가 법적/제도적 차원에서의 공론장을 활성화해야 한다. 시민들이 주축이 된 공론의 장을 의회가 지원해야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래야 진정한 시민참여와 시민통제가 가능해진다. 의회가 주도하든, 시민들이 주축이 되든 공론의 장은 마련 되어야 시민참여와 시민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법적/제도적인 구속력을 가진 공론의 장은 의회가 만들어 주어야 한다. 지역정부의 관료들이 다양한 기제를 통하 여 지역시민들의 정책과정에 참여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시민의 대표인 지역 의회 의원들이 적극적으로 지역시민들이 정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공론장을 적극적으로 형성해주면서, 한편으로는 공론장의 매개제 역할을 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Ⅰ. 서론
II. 현상과 이해를 위한 논증의 구조
III. 논증의 구조에 따른 분석- 강원도 광역정부와 광역의회사례를 중심으로
1. 실제적 현상(결론 C: Conclusion)
2. 증빙 자료(D: Data)
3. 시민참여와 시민통제의 부재에 대한 의회역할 비판 - 근거(W)
4. 해외의 사례를 통해본 강원도 광역의회의 역할 부재 - 지지(B) -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