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시ㆍ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Focused on th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

임근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ultimate purpose of local administration in autonomy lie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finding out the proper method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is becomes important matters that local administration must do. Some researchers in previous studies compared the total sum of the measurement indicators between regions or measured the level by regarding the total sum of satisfaction as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the actual situation that the empirical analysis is not sufficient regarding what has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which factors should be raised or improved.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at regarded the total sum of objective indicators or subjective indicators as the quality of life, the features of the study disclosed the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by separately measuring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life with a new analysis method. In this regard, the quality of life is not limited as individual recognition on a certain part, but the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the recognition such as satisfaction, a sense of security, a sense of convenience, a sense of pleasantness, confidence and a feeling of happiness etc. and 50 detailed items were set up as measurement indicators for 13 affecting factors by considering what subjective recognition is added to objective indicators as influence factors,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dex value that was investigated on the recognition on the quality of life and influence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ingful point is that there were a few meaningful results in the empirical analysis on influence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and on the recognition and first, a feeling of happiness has the largest influence among individual recognitions constituting the quality of life, and second, 8 factors out of 13 affecting factors were shown to have influence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measur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y showed the influence in the order of residential environment, a sense of attachment to a region, traffic environment, safety environment, social conditions, educational environment, pleasant environment and basic life conditions etc.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comprises was the highest. Therefore, to improve local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ust be improved as a priority, and for the next item,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on of local community conditions that helped and encouraged people in need with a sense of attachment to a region that is an immaterial factor was a task that should take precedence in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한국어

자치시대 지방행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으며, 이를 위 하여 적절한 방법을 찾아내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이 지방행정에서 해야 할 중요한 일들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특징은 객관적인 지표나 주관적인 지표의 총합을 삶의 질로 본 기존 연구와는 달리 새로운 분석방법으로 삶의 질 영향요인과 삶의 질 인식을 별도로 측정하여 삶의 질 관련 요인의 영향력을 밝혔다. 여기서 삶의 질은 어느 한 부분의 개별인식으로 국한된 것이 아닌 만족감, 안 전감, 편리감, 쾌적감, 신뢰감, 행복감 등의 인식이 포함된 포괄적인 개념으로 하였고, 객관적 지표에 주관적인 인식이 가미된 것을 영향요인으로 하여 13개 영향요인에 대한 50개 세부 항목 을 측정지표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대하여 조사한 지표값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의미있는 점은 삶의 질 영향요인과 인식에 관한 실증분석에서 몇 가지 유의미한 결 과가 나타났는데 먼저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인식 중에서 행복감이 주는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점이고, 둘째로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단계선택 회귀분석에서 13개 영 향요인 중 8개 요인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거환경, 지역에 대한 애착심, 교통환 경, 안전환경, 사회적 여건, 교육환경, 쾌적한 환경, 기초생활여건 등의 순으로 영향력을 보였으 며, 이 중에서 주거환경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의 삶 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주거환경을 우선적으로 개선시켜야 하겠으며, 다음으로 비물질적 요인인 지역에 대한 애착심에서 어려운 주변사람을 도와주고 격려해 주는 지역사회 여건 조성이 삶의 질 향상에 우선되어야 할 과제인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삶의 질의 개념과 영향요인
  1. 삶의 질 개념과 구성요소
  2. 삶의 질 영향요인 측정지표
 Ⅲ. 연구모형
  1. 연구모형 및 연구변수
  2.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3.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Ⅳ. 삶의 질 인식 수준과 영향요인 실증분석
  1.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수준 분석
  2. 삶의 질 인식 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
  3. 삶의 질 인식 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4. 분석결과 종합 및 개선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근식 Lim, Geun-Sik. 강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