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rend in research of Renminbi's internationalization
초록
영어
China’s policies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use of the RMB have recently become more pro-active. Partly in response to the current international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the Chinese government is taking steps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RMB as settlement currency for current account transactions in the region and elsewhere in the world. RMB-denominated lines of credit have been extended to several countries and bilateral local currency swaps have been negotiated with Malaysia, South Korea, Indonesia, Hong Kong. It seems likely that the current international crisis will promote the international use of the RMB and accelerate movement toward full RMB convertibility. Once that has milestone has been reached, which could happen relatively soon - say 5-10 years - the main obstacle to the use of the RMB as an international reserve currency will have been removed. If by then no agreement has been reached on Zhou Xiaochuan’s proposal for international monetary reform, or possible variants thereof, it is likely that we will see the spontaneous emergence of the RMB as a reserve currency, but that would also require in addition to full convertibility substantial further development of China’s domestic capital markets. A reserve currency system based on several competing reserve currencies, including US dollar, Euro, RMB and some smaller currencies, though theoretically less perfect than an SDR-based system, may well be an improvement on the present system.
한국어
위안화 국제화의 배경은 2009년 3월 23일, 저우샤오촨 중국 인민은행 행장이 ‘기축통화로서 IMF의 SDR을 폭넓게 활용하자’라는 기고문을 발표한데서 기인한다. 이후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강렬한 반대의 목소리와 시기상조론이 대두 되었으나, 위안화 영향에 가장 밀접한 아시아 각국과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가는 중국발 ‘신기축통화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중국정부가 내세운 것은 SDR이나 궁극적인 목표는 ‘위안화의 국제화’이며 중국은 이를 위해 이미 위안화의 무역결제 범위 확대, 위안화 표시채권 발행 확대 등 조치를 취해오고 있다. 위안화의 국제화에 대한 전문가 전망을 종합하면 단기간 위안화는 지역중심 통화로 부상할 것이나, 달러화를 대체할 기축통화 지위에 오르기까지는 중국의 환율 시스템, 금융 시스템 자유화가 선결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반면에 막대한 양의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경제를 근거로 하여 위안화에 대한 국제 수요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분석한 위안화 국제화 가능성 분석결과에 따르면 아시아 역내에서 만큼은 달러화, 유로화 같은 기축통화 못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미 달러화의 가치 절하를 전제로 할 경우, 무역 시장에서의 자연스런 결제통화 수요에 대해 일정 부분 위안화가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하였다.
목차
1. 서론
2. 위안화 국제화의 배경
3. 중국의 신기축통화론에 대한 반응
4. SDR의 유래와 중국의 접근법
5. 중·미관계와 위안화의 국제화
6.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전망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