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製作技法을 통한 慶州地域 塑造像과 中國 塑造像과의 관계 - 古新羅ㆍ統一新羅時代의 불교조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lation with clay figures in GyungJu-area and in China through manufacture technique - Laying stress on Buddhism sculpture of Three Kingdoms era Ancient Silla) and Unified Silla Kingdom era -

제작기법을 통한 경주지역 소조상과 중국 소조상과의 관계 - 고신라ㆍ통일신라시대의 불교조각을 중심으로 -

박윤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inquired the status of excavated clay figures in GyungJu-area and attempted to China and GyungJu-area in comparison to each other through manufacture technique. The reason, I looked at the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 is unique manufacture technique as well as the excavated amount of clay figures in GyungJu-area. In order to prove it, I examined relation examining interrelation between manufacture technique in GyungJu-area and in China. First, Looked at status of the excavated clay figures and manufacture technique in GyungJu-area. When Looked at status of the excavated clay figures, GyungJu-Oryuri Buddhist statue is one of clay figures in Silla era. There are representative clay figures of Unified Silla Kingdom in Seokjang-temple remains, Sachunwang- temple remains, NeungJi-Pagoda remains, Dongchun-Dong remains, HengRyun-Temple remains, and so on. The clay figures of Unified Silla Kingdom era is focused in GyungJu-area. When Looked at manufacture technique, The clay figures of GyungJu-area is no dry way technique and can know that All are manufactured by terra-cotta way. and All are the clay figures of three kingdoms·Unified Silla Kingdom era. For example, There are those of Seokjang-temple remains, Sachunwang-temple remains, and NeungJi-Pagoda remains. Among those are, The clay figures of Seokjang․Sachunwang-temple remains are manufactured by ‘Drawing Way’. The clay figures of NeungJi-Pagoda remains are manufactured by ‘The Surface terra-cotta way’. Secondly, Looked at status of the excavated clay figures and manufacture technique in China. Donhwang-Stone cave and Wood- Pagoda in temple remains are explained to an example. Because of nature situation In Donhwang-Stone cave, drying way prevailed. The Clay Figures, excavated in Wood-Pagoda in temple remains in South․North kingdoms era of China, are manufactured by ‘mold’ or ‘hand shaped’. And Those were completed through fire process. Finally, Compared with clay figures in GyungJu-area and in China through manufacture technique. As a result, The clay figures in GyungJu-area, Three Kingdoms era, less related to those in China and If effect relation is confirmed, it could be presumed indirect impact through Buyeo-area interchanged with China. The clay figures of Gyungju-area, Unified Silla Kingdom era, can be taken greatly two for example. One is clay figure of Neungji-padoda remains and another is that of Seokjang․Sachunwang-temple remains. ‘The Surface terra-cotta way’, represented by clay figure of Neungji-padoda remains, can be seen in South Chungcheong-area. Because of that, estimated the unique technique of Korean Peninsulaan or the effect exchanged with China. The clay figures of Seokjang․Sachunwang-temple remains manufactured by ‘Drawing Way’ and it is seen in the unique technique in Gyungju-area or the result offshore-people influenced.

한국어

이 글에서는 慶州地域 塑造像의 출토 현황을 알아보고, 제작기법을 통하여 中國 塑造像과의 비교검토를 시도하였다. 비교관계를 살펴본 이유는 경주지역이 소조상의 출토량에서 시대적인 대표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독창적인 제작기법을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경주지역과 중국 소조상 제작기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서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첫째, 경주지역 소조상의 출토현황과 제작기법을 살펴보았다. 출토현황을 살펴보면, 三國時代(古新羅)의 대표적인 소조상은 경주 오류리 출토 소조보살입상이 있다. 統一新羅時代의 대표적인 소조상은 경주 석장사지,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낭산 능지탑, 경주 동천동, 경주 塼흥륜사지, 경주 외에는 대구 달성군, 남원 실상사, 경남 울주 간월사지 출토 소조상 등이 있다. 경주지역은 통일신라시대 소조상이 주로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작기법을 살펴보면, 三國·統一新羅時代 경주지역의 소조상은 乾燥式이 아니라 모두 테라코타式으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작기법을 대표할 수 있는 예는 석장사지·사천왕사지 출토 신장상, 능지탑 소조사방불이 있다. 이중에서 석장사지·사천왕사지 소조상은 독특한 기법인 붓질소조법을 보이고 있고, 능지탑 소조사방불은 표면소성법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중국 소조상의 출토현황과 제작기법을 돈황석굴과 사원 목탑지 출토 소조상을 예로 들어 살펴보았다. 돈황에서는 자연여건상 건조식 소조상이 성행하였고, 중국 남북조시대 사원 목탑지에서 출토된 소조상은 笵을 사용하거나 손빚기 성형을 하여 소성과정을 거친 것이 다수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조상의 제작기법을 통해서 경주지역 출토 소조상과 중국 소조상을 비교검토 하였다. 그 결과, 三國時代 경주지역의 소조상은 중국과 상관성이 적다고 생각되고, 설령 확인된다 하더라도 중국과 교류가 빈번한 부여지역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統一新羅時代 능지탑 소조상으로 대표되는 표면소성법은 충남지역에도 그 예가 있는 것으로 보아, 한반도의 독자적 기법이거나 혹은 중국 남조와의 교류 결과로 추정하였다. 석장사지, 사천왕사지 출토 신장상으로 대표되는 붓질소조기법은 경주지역의 독자적 기법이거나, 국외인의 영향에 따른 결과물로 추정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경주지역 소조상의 출토현황과 제작기법
 3. 중국 소조상의 출토현황과 제작기법
 4. 경주지역 소조상과 중국 소조상과의 비교
 5. 결론
 도면 출처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배 Park, Yun-Bae. 경성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