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周禮』에 나타난 冕服 衣裳 제작 및 공급 체계

원문정보

『周禮』中的冕服制作及传递体系

『주례』에 나타난 면복 의상 제작 및 공급 체계

包铭新, 崔圭顺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stitutional origin of the bureaucratic system in ancient Korea and China is derived from 'Zhouli(周禮)', and it is true for costume related official positions. In spite of this fact, no systemat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oth in Korea and China for detailed costume and its production and supply, which are found in 'Zhouli'. Under the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ystem of production and supply of costume in ancient royal court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emperor's ritual robes[冕服], which were the highest- level formal dresses worn at the most magnificent events both in Korea and China.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organic system among various official positions as well as individual duties of each official position will be identified. This will provide basic knowledge for comparative studies of costume related official positions in the subsequent generations of Korea and China, and further serve as a foundation to propel continuing follow-up studies. Furthermore, it will provide research findings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king's and emperor's ritual robes, which began to be worn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For the study, contents found in Taoist classics in 'Zhouli', annotations(注) by Xuan Zheng(鄭玄), annotations (疏) by Gong-yan Jia(賈公彦), “Zhouli-zhengyi”(周禮正義) by Yi-rang Sun(孫詒讓) were analyzed. This study is at larg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summarizes costume related official positions on the whole, and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changes in the official posi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emperor's ritual robes by identifying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upper and lower garments representatively from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titute emperor's ritual robes. Of costume related official positions, those involving production and supply are 11, including Binfu(嬪婦) from nine positions(九職), Diansi(典絲), Huangshi(氏), Ranren(染人), Neigong(內工 or 女禦) and Waigong(外工 or 外嬪婦), Dianfugong(典婦功), Fengren(縫人), Huahui(畵繪), Neifu(內府), Sifu(司服), Nvyu(女禦). For the production of emperor's ritual robes, silk threads are first needed. This job is taken by Binfu from nine positions. Silk threads at this step are still wild threads, which are delivered to Diansi. Textiles that are used for cloth are black and pink silk. There are two methods to produce dyed textiles: weaving after first dying threads, and dying after weaving textiles. Of these two methods, the former is used for emperor's ritual robes. As such, Diansi sends wild threads to Huangshi to refine them. It receives the refined threads back, which are sent to Ranren to dye them. Diansi again collects dyed threads, which are sent to Neigong and Waigong to weave textiles. Completed textiles are sent to Dianfugong. Dianfugong receives black and pink silk from Diansi, and sends it to Fengren to sew it, collecting completed upper and lower garments. In order to create twelve crests on the garments, illustrations that symbolize sun(陽) are drawn on the upper garments, and patterns that symbolize moon(陰) are embroidered on the lower garments. This duty is taken by Huahui. Thus, Dianfugong sends the garments to Huahui to create patterns and collects them back and sends to Neifu for storage. Neifu receives the garments from Dianfugong and store them in the warehouse. When there is a ritual ceremony, Sifu determines a set of costume appropriate to it and has Neifu bring the costume from the warehouse. This costume is offered up to the king through Nvyu. These findings show that Sifu is engaged in costume protocol, Dian斯 and Dianfugong supervise and manage the production of costume, Neifu and Nvyu store and deliver items, and Binfu from nine positions, Huangshi, Ranren, Neigong and Waigong, Fengren, Huahui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한국어

韓中 兩國의 古代 官職體系는 그 제도적 근원을 '周禮'에서 찾을 수 있고, 服飾 관련 관직 역시 예외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 양국에서 '주례'에 나타난 복식의 세부형태나 그 제작・공급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대 복식 중 한국과 중국에서 祭祀와 國婚 등의 가장 성대한 행사에 착용되던 最高 禮服인 冕服의 제작과정을 통해 고대 궁중의 복식 제작 및 공급체계의 일면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각 관직의 개별 업무 뿐 만 아니라 여러 관직간의 유기적 체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후대 한중 복식 관직과의 비교연구 및 변화양상 파악에 기본 자료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양산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또 중국의 영향 아래 착용하기 시작하였던 한국의 면복 이해에 필요한 연구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구를 위해 '주례' 經文 및 鄭玄의 注․賈公彦의 疏와, 淸代 孫詒讓의 '周禮正義' 등에 나타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먼저 복식 관직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다음으로 면복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대표적으로 上衣와 下裳의 제작과정을 파악하여 그 제작 및 공급에 참여하는 관직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주례'에는 약380여 관직이 있는데 연구결과 약50개의 관직이 직・간접적으로 복식과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관직은 그 직분의 특성에 따라 服飾 禮儀 官職(약14), 감독 및 관리 관직(약6), 제작관직(약29)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복식관직 중 면복 의상의 제작․공급 관련 관직은 九職의 嬪婦, 典絲, 氏, 染人, 內․外工[內工: 女禦; 外工: 外嬪婦], 典婦功, 縫人, 畵繪, 內府, 司服, 女禦의 11개 관직이다. 면복 의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絹絲를 준비해야 하는데 이는 구직의 빈부가 맡는다. 이때의 실은 아직 염색이 되지 않은 素絲이고, 素絲는 전사에게 보내진다. 의상에 사용되는 직물은 玄․纁色의 繒인데, 염색한 직물을 얻기 위해서는 실을 먼저 염색한 후 직물을 짜는 것[先染]과, 직물을 짠 후 염색하는[后染]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면복과 같은 제복은 그중 前者의 방법으로 직물을 준비한다. 따라서 전사는 素絲를 정련하도록 황씨에게 보냈다가, 정련한 실을 다시 받아 염인에게 보내어 염색하게 하고, 이를 다시 거두어 내외공에게 보내 직물을 짜게 한 후, 완성된 직물을 거두어 전부공에게 보낸다. 전부공은 전사로부터 현․훈색 繒을 받아 봉인에게 보내 바느질하게 한 후 완성된 상의와 하상을 거둔다. 의상에 十二文章을 표현할 때는 상의에 陽을 상징하는 그림을 그리고[繪], 하상에 陰을 상징하는 繡를 놓는다. 이 역할은 화회가 맡는다. 따라서 전부공은 의상을 화회에게 보내 무늬를 표현하게 한 후, 다시 거두어 내부에 보내 보관하게 한다. 내부는 전부공으로 부터 의상을 받아 창고에 보관한다. 의례를 행할 때가 되면 사복은 각각의 의례에 맞는 복식 일습을 결정하여 내부가 보관하는 창고에서 가져오게 하며, 이 복식을 여어로 하여금 천자에게 바치게 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면복 의상 관직 중 사복은 복식 예의 관직의 역할을 담당하고, 전사․전부공은 제작을 관리 감독하며, 내부와 여어는 물건을 보관 및 전달하고, 구직의 빈부․황씨․염인․내외공․봉인․화회는 직접 제작에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주례'는 그 成書年代에 여러 異見이 있고, 또 그 내용에는 수록된 관직체계가 실제 언제의 제도를 반영하는지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들은 '주례'를 기본 자료로 삼아 연구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 그러나 '주례'는 漢 이후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관직체계와 禮制의 준거로 사용되는 한편 복식제도와 제작 역시 그 기본 틀을 제공하므로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 역시 여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1.序言
 2. 『周礼』中与服饰相关的官职
 3. 『周礼』中与冕服相关的官职及加工、传递体系
 4. 小结
 Abstract

저자정보

  • 包铭新 포명신. 东华大学(上海) 服装学院教授
  • 崔圭顺 최규순. 檀国大学校传统服饰研究所责任研究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