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時代 한글 簡札의 [結末] 構成과 類型에 대한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clusion’s Construction and Types of Hangul Ganchal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결말] 구성과 유형에 대한 고찰

전병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s to classify [Ending], targeting the Joseon Dynasty Hangul Ganchal(old typed letters in Korean). Below is a summary of the discussion result. The composition form of [Ending] is consist of [Ending Expression+ message+Conclusion+Draw-up date+Signature+Postscript]. Again, the composition form is divided into content element(Ending Expression, Message, Conclusion, Postscript) and form element(Draw-up date, Signature). Content element is also subdivided into core element(Ending Expression, Conclusion) and surplus element(Message, Postscript). The semantic composition of [Ending Expression] is divided into [Praying type](praying a well and health of addressee) and [Request type](asking to addressee live well and healthy). [Praying type] is mostly used for Jonbigan(to junior, from elder) Ganchal, [Request type] is uesd for Bijongan(to elder, from junior) Ganchal. The semantic composition of [Conclusion] is suggested as folow If you analyse by stages. By analysing in [Premise+Aspect] at 1st step and shaping up [Premise] as [Remained coment], [Aspect] as [Cause+Stop writing] at 2nd step, the semantic composition of [Conclusion] could be consist of [Remained comment+Cause+Stop writing] We examined conventionalizing process around [Conclusion]. The conventionalizing of expression starts from the gap between surface meaning and deep meaning. I identified that it emerged from passing through abbreviating and combination of the [Remained comment] and [Cause], which is the element of [Conclusion]. The type of [Ending] could be devided by five. The 1st type is a [Fixed type] that shows [Ending expression+Conclusion] composition, and [completion] that has all core elements. The 2nd type is in case that the composition form of [Ending] is [Fixed type] and is only consist of [conclusion] without [Ending expression], which is the core element. It is mostly appeared in Jonbigan Ganchal, which does not have to have polite to addressee, it is more polite than the 3rd and 4th types. The 3rd type is in case that the composition form of [Ending] is [Fixed type] and is only consist of [Ending expression] without [conclusion], which is the core element. It is mostly appeared in Jonbigan Ganchal, it is more polite than the 4th types. The 4th type is in case that the whole composition form of [Ending] is omitted. It is mostly appeared in Jonbigan Ganchal, it is most rude of all types. The 5th type is [Inversion type] that shows [Conclusion+Ending Expression] composition in the composition form of ending. Unlike [Inversion type] of [Begging], it is no discourtesy to the other side, appearance frequency is also high. So, talking broadly, the order of number that give to the name of type is only considered the completion of composition.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의 한글 簡札을 대상으로 하여 [結末]의 構成을 分析하고 類型化를 시도한 것이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結末]의 形式構成은 [結末人事+傳言+結句+作成日時+署名+追伸]으로 이루어진다. 형식구성은 다시 [內容要素(결말인사, 전언, 결구, 추신)]와 [形式要素(작성일시, 서명)]로 나뉜다. [內容要素] 또한 [核心要素(결말인사, 결구)]와 [剩餘要素(전언, 추신)]로 세분된다. [結末人事]의 意味構成은 受信者의 健康과 安寧을 바라는 [祝願型]과 受信者가 健康하고 안녕하게 살아가기를 부탁하는 [當付型]으로 나뉜다. [祝願型]은 卑尊間 簡札에서, [當付型]은 尊卑間 簡札에서 주로 쓰인다. [結句]의 意味構成을 段階的으로 分析하여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前提+樣相]으로 분석되고 [前提]는 [餘留]로, [樣相]은 [原因+閣筆]로 구체화됨으로써 [結句]의 意味構成은 [餘留+原因+閣筆]로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結句]를 중심으로 常套化 過程을 살펴보았다. 表現의 常套化는 表面意味와 深層意味의 괴리에서 비롯되는데 [結句]의 構成要素인 [餘留]와 [原因]이 縮約과 統合의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結末]의 類型은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第1類型은 形式構成에서 [結末人事+結句]의 구성을 보이는 [定置型]이면서 [核心要素]가 모두 갖춰진 [完成型]을 말한다. 第2類型은 [結末]의 形式構成이 [定置型]이면서 [核心要素] 중 [結末人事]가 생략된 채 [結句]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受信者에 대해 예의를 갖추지 않아도 무방한 尊卑間 簡札에서 주로 나타나며 缺禮라는 면에서 第3類型이나 第4類型보다는 덜하다. 第3類型은 [結末]의 形式構成이 [定置型]이면서 [核心要素] 중 [結句]가 생략된 채 [結末人事]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受信者에 대해 예의를 갖추지 않아도 무방한 尊卑間 簡札에서 주로 나타나며 缺禮라는 면에서 第4類型보다는 덜하다. 第4類型은 [結末]의 形式構成 전체가 생략된 경우이다. 受信者에 대해 예의를 갖추지 않아도 무방한 尊卑間 簡札에서 주로 나타나며 缺禮라는 면에서 모든 類型 가운데 가장 심하다고 할 수 있다. 第5類型은 결말의 形式構成이 [結句+結末人事]의 구성을 보이는 [倒置型]이다. [書頭]의 [倒置型]과는 달리 상대에 대해 缺禮가 되지 않으며 출현빈도 또한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類型의 名稱에 부여한 번호순서는 構成의 完成度만을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序言
 Ⅱ. [結末]의 構成
  1. 形式構成
  2. 意味構成
 Ⅲ. [結末]의 類型
  1. 類型分類의 基準
  2. 類型分類의 實際
 Ⅳ. 結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병용 Jeon, Byeong Yong. 단국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