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試筆』을 통해 본 소북계 문사의 정치인식과 문학 활동

원문정보

Literary activity and political recognition of Sobuk(小北)’s persons through 『Sipil(試筆)』

『시필』을 통해 본 소북계 문사의 정치인식과 문학 활동

趙貞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pil(試筆)』 is a kind of writing of Im Cheon-sang, a Sobuk(小北)’s writer, and includes anecdotes of persons who lived mostly in the mid- to late Joseon period. Among them, it contains a lot of stories about Sobuk’s persons. So it is very useful to study literary men of Sobuk because only very little of their materials remains compared with other factions.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various aspects of figures in Sobuk’s persons, such as political recognition, living attitude, and literary activity. 『Sipil』 revealed a partially negative view about Seoin(西人) in a few records about representative Seoin(西人) like Lee Yi(李珥) or Lee Jeong-gu(李廷龜) after Injo restoration and a series of historical affairs occurring in the period of faction, in which Dongin(東人) split Nam⋅Buk(南北, South-North), and then Bukin(北人) split Dae⋅So(大小, Large-Small). Sobuk could keep alive after Injo-Restoration(仁祖反正) Seoin led because Sobuk was in confrontation with Daebuk in a coalition for murder of Yongchangdaegun(永昌大君) and dethronement of Inmokdaebi(仁穆大妃). However, according to 『Sipil』, it could be confirmed that basically, Sobuk was not only favorable to Seoin group, who led Injo restoration. In addition, it was negatively described about an attitude that at the end of 17th century, Noron(老論) as a class with power would not lose a ruling power. On the contrary, persons who didn't think of themselves as faction were positively recorded. Judging from these facts, we could confirm that Sobuk, who were mostly alienated from a political world, had a little critical recognition about reality of faction intensified at the end of 17th century and a few key figures of Noron. Furthermore, in 『Sipil』, Sobuk’s persons emphasized the poor but honest living and discreet behaviors. On the other hand, they made an effort for reading and sublimated into arts and literatures. It seems that these trends came into driving forces to bind and support the lives of Sobuk's persons in anxiety of reality caused by alienation from a political world.

한국어

『試筆』은 小北系 文人 任天常의 筆記類 저술로, 주로 朝鮮 中⋅後期 인물의 逸話를 수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는 小北人들에 대한 기사들을 상당수 포함하고 있어 다른 黨派에 비해 자료가 적게 남아있는 小北係의 문사들을 연구하는데 유용하다. 이에 본고는『試筆』에 나타나는 小北係 인사의 정치적 인식 및 생활태도, 문학 활동의 一面을 살펴본 것이다. 『시필』에서는 東西分黨 이후, 東人이 南北으로, 다시 北人이 大小로 분파되는 시기에 마주한 일련의 역사적 사건과 인조반정 이후의 李珥 또는 李廷龜와 같은 대표적 西人에 대한 몇몇 기록 속에서 이들에 대해 일부 부정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小北은 永昌大君의 殺害와 仁穆大妃 廢位를 위한 庭請에서 大北과 대립적 노선을 취했기 때문에 西人 주도의 仁祖反正 이후에도 命脈을 이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小北은 仁祖反正을 주도한 西人 세력에 대해서 호의적인 것만은 아니었음을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7세기 후반 老論이 집권층으로서 지배 권력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모습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술하는 한편, 반대로 色目을 자처하지 않는 인물들을 긍정적으로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대체로 정계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小北이 17세기 후반 격화된 黨爭의 현실 및 노론의 일부 핵심 인물에 대해서도 다소 비판적 인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북인은 정계에서의 소외와 그로인한 불안한 현실을 신중하고 청빈한 생활태도를 강조하고, 독서에 힘쓰며 나아가 예술과 문학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으로 대응하였다. 이는 청빈한 생활, 독서 및 문학 활동과 관련된 기사를 상당수 수록하고 있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문학 활동 양상으로는 문학적 교유가 小論, 南人 문사 및 賤民 詩人과의 교유와 같이 당파와 신분을 넘어서 이루어졌으며, 또한 악부시나 영사시와 같이 조선의 역사와 자연풍토, 풍속생활을 읊는 18세기 한시사의 새로운 경향이 소북계 문사에게도 반영되고 있음을 『시필』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少北의 정치인식
 Ⅲ. 小北의 삶과 문학 활동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趙貞允 조정윤. 충남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