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사용성 평가 - 배달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Usability Test for Mobile Applications - Focused on Delivery Applications -

정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ctor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domestic mobile commerce market in 2015 may be a food delivery service. Domestic delivery food market is estimated at about 10 trillion won. The order over the current delivery food service is approximately 1 trillion, 'Baedalminjok', 'Baedaltong', and 'Yogiyo' are about 90% of the delivery tube in nationwide. In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the usability of three applications by the heuristic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and extracted users' requirement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ere 'Baedalminjok' is relatively high, and 'Yogiyo' is the next. 'Baedaltong' is the lowest due to a lot of negative issues raised. The heuristic analysis showed a comprehensive 'Baedalminjok' ha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Baedaltong', the app shows the lowest score was in 'Yogiyo'. Delivery app is the next generation business field due to extremely valuable in connection with the online and offline market. However, the three major domestic delivery applications, 'Baedalminjok', 'Baedaltong', and 'Yogiyo' are too focused on the appearance design, so that the simple task, the important information delivery, ease of use in terms of user experience design could not be considered a lot.

한국어

최근 스마트폰 이용자의 급증과 인터넷을 발달로 모바일 시장이 급성장하였고 이는 이용자층의 확대와 기존 쇼핑 행태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모바일 시장에서 게임과 더불어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는 현금창출 능력이 탁월한 커머스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국내 모바일 커머스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은 분야는 배달음식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특유의 배달문화와 세계 최고의 스마트폰 보급률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특히 국내 배달앱 중에서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앱은‘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달의 민족’,‘배달통’,‘요기요’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심층인터뷰와 휴리스틱 분석이라는 사용성 평가 방법을 통해 분석해 보고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추출하며, 이를 통해 추후 이 서버스업계가 나아갈 길을 탐색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심층 인터뷰의 결과, ‘배달의 민족’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적었고, 그 다음이 ‘요기요’였으며, 가장 문제점이 많이 제기된 앱이 배달통이었다. 휴리스틱 분석 결과에서는 종합적으로 ‘배달의 민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그 다음이 ‘배달통’,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앱이 ‘요기요’로 나타났다. 반면 태스크의 간소화, 중요한 정보전달, 사용의 편의성 등의 사용자 경험디자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소셜 커머스
  2.2. 디자인 연구조사 방법
 3. 연구 방법
  3.1. 심층 인터뷰 절차
  3.2. 휴리스틱 분석 절차
 4. 연구 결과
  4.1. 심층인터뷰 결과
  4.2. 휴리스틱 분석 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혜경 Chung, HaeKyung. 건국대학교 영상디자인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