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물 제326호 이순신 장검 혈조 내 안료의 규명 및 제거

원문정보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Pigments in Blood‐colored Grooves of Long Sword, Admiral Yi Sun‐sin (Treasure No. 326)

권혁남, 윤혜성, 유동완, 이정원, 이장존, 한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tifacts of Admiral Yi Sun-sin (Treasure No.326) consist of six items with two long swords, a jade decoration, a belt and two peach-shaped cups. In commemoration of the opening of Chungmugong Yi sun-sin Memorial Museum (April 28, 2011), there were conservation treatments for those artifacts at the beginning of 2011. At that time, from the result of non-destructive surface analysis on pigments in blood-colored grooves of the two long swords, it was presumed to be synthetic resin paints. This study shows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n pigments which was presumed as synthetic resin paints and its removal. To identify pigments in blood-colored grooves, the optical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icro-XRF, XRD and FT-I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turned out that the thickness of 10~90㎛ in a single layer was measured. And major components containing Pb and Cr and lead․ chromium․ molybdenum oxide were identified and to identify components of adhesives from the analysis by FT-IR, it turned out to be alkyd resin, which can be presumed that they were recently colored with synthetic paints. The synthetic paints easily react with most of the organic solvents. And it is so easy to handle without the effect on metal that it was removed with acetone. While removing synthetic paints, all of paints on it were collected for identifying whether there is traditional pigment but nothing was identified.

한국어

보물 제326호 이순신 유물 일괄은 장검 2점, 옥로 1점, 요대 1점, 도배․구배 2점 등 총 6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유물들은 2011년 4월 28일 “충무공이순신기념관” 개관을 위해 2011년 초에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이 때 장검2점의 혈조 내 안료에 대한 비파괴 표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합성수지도료로 추정되었다. 본고에서는 이 합성수지도료로추정되는 안료의 정확한 조사 및 제거에 대해 논하였다. 혈조 내 안료를 규명하기 위해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 Micro-XRF, XRD,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께는 10~90㎛의 단일층으로 확인되었고 성분분석 결과Pb, Cr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XRD 분석을 통해 납․크로뮴․몰리브데넘 산화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접착제 성분을확인하기 위해 FT-I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알키드 수지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해 근래에 합성수지도료로 채색한 것으로추정된다. 이 합성수지도료는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쉽게 반응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금속에 영향이 없으며 쉽게 제거가능한 아세톤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합성수지도료 제거 과정에서 전통안료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도료 전체를수집하였으나 확인되지 않았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조사방법
 3. 분석 결과
  3.1. 안료의 단면 및 성분 분석 결과
  3.2. 안료의 적외선분광분석
 4. 혈조 내 안료의 제거
 5.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저자정보

  • 권혁남 Hyuk Nam Kwon.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윤혜성 Hye Seong Youn.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유동완 Dong Wan Ryu.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정원 Jeong Won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장존 Jang Jon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 한민수 Min Soo Han.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