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협무[무용수] 6인 구성 정재의 정재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Jeongjaedo of Jeongjae with Six Hyeopmu(Dancers)

손선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dy on Jeongjaedo of Jeongjae with Six Hyeopmu(Dancers) Son, Seon-Suk*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contents in , , and that are included in Euigwe[儀軌] to examine the arrangement and the dance composition that Jeongjae(呈才) with 6 dancers;and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 Jeongjaedo(呈才圖) with six dancers were distinguished into different roles and divided into the one only with six Hyeopmu(挾舞) and Jakseon(雀扇), Jipdang(執幢), Bodeung(寶燈), and Jipyeonhwa(執蓮花). These Jeongjae(呈才) was composed of Hyeopmu, yet because of the use of Mugu(舞具), dancing with Hyeopmu creating a formation with the roles were divided into Jeondae(前隊) and Hudae(後隊) showed the difference in its progress from the existing Jeongjae. A new dance trend that a dancer given a clear role participating as an element of the dance composition, being distinguished from Hyupmu in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creating a formation and dancing. Each Jeongjaedo presented one formation:2-dae Jwau-daehyeong(二隊左右隊形) in , Jeonhu-daehyeong(前後隊形) in , , , and , Jeonhujwaubokdap-daehyeong(前後左右複合隊形) in , , and , Illyeol-daehyeong(一列隊形) in , Sanjakhwamu-daehyeong(散作花舞隊形) in , and Pumja-daehyeong(品子隊形) in . Jeongjae-daehyeong(呈才隊形) that appeared in Jeongjae composed of six Hyeopmu were Illyeol-daehyeong, Jeonhu-daehyeong, 2-dae Jwau-daehyeong, Sanjakhwamu-daehyeong, Pumja-daehyeong, and Jeonhujwaubokhap-daehyeong. Illyeol-daehyeong, Jeonhu-daehyeong, and 2-dae Jwau-daehyeong were the existing formations and Jeonhujwaubokdap-daehyeong, Sanjakhwamu-daehyeong, and Pumja-daehyeongare the new formations appeared in six-dancer compositions. The Jeongjae-daehyeong,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dance structure and the dance style formation of the northward dance, Sangdae(相對), and Sangbae(相背) that were recorded in Holgi(笏記) were examined through Jeongjaedo.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that was not recorded in Holgi was examined as well—four hyeopmu holding Bodeung and dancing in and holding the left hands centered on the lines when dancing northward in the linear formation in . Also,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Mugu(flower) was different in each formation—the left hands of two Hyeopmu in Jeondae in and the Oesu(外袖:outside hands) for Jwamu(左舞) and Umu(右舞) in Sanjakhwamu-daehyeong in . However, in , three dancers in Jeondae(前隊) used the right hands and one Bodeung in Hudae(後隊) held Dang(幢) with the left hand, so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Mugu for each formation existed. Sangdae and Sangbae centered on the dancers, the lines, and the north, yet and centered on the dancers and two dancers in Jeondae in centered on the north doing Hokmyeon(或面) and Hokbae(或背) and Jwaumu(左右舞) in the second line in moved Namhyang(southward). It also revealed that the dancers in Naehyang(內向) and Oehyang(外向) in centered on the lines and Hoemu(回舞) also created the new moving structure doing Oeseon(外旋) in . Each Jeongjaedo presented the dancing content in one type of formation on a page—as few as one and as many as twelve in Euigwe. Mostly the same dance contents were presented and several contents on a page were tried to be presented. The same content was repeated and presented in each Jeongjae, and the reality of the Jeongjae content recorded in letter in Holgi was examined or even the content not recorded was reflected.

한국어

본 연구는 무용수 6인으로 구성된 정재에 나타난 대형과 춤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의궤에 수록된 <고구려무>, <망선문>, <박접무>, <사선무>, <연화무>, <영지무> <첩승무>, <최화무>, <춘광호>, <춘대옥촉>, <향령무> 정재도의 내용을 홀기와 비교 검토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무용수 6인 구성의 정재도는 무용수 구성이 온전히 협무 6인으로 된 것과 작선․집당․보등․집연화로 역할을 구분하여 구성되었다. 이들 정재는 협무로 구성되었지만 무구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대(前隊)와 후대(後隊)로 역할이 구분되어 협무와 함께 대형을 이루며 춤추는 것이 기존의 정재와는 진행에 차이를 보인다. 뚜렷한 역할이 주어진 무용수로서 춤 구성의 일원으로 참여하고, 배열 위치 또한 협무와는 구별되어 협무와 함께 대형을 구성하며 추는 새로운 춤 양상이 나타났다. 정재도마다 1가지 대형을 제시하였는데, <고구려무>는 2대 좌우대형, <망선문>․<사선무>․<영지무>․<춘대옥촉>은 전후대형, <박접무>․<첩승무>․<춘광호>는 전후좌우복합대형, <최화무>는 일렬대형, <연화무>는 산작화무대형, <향령무>는 품자대형이다. 협무 6인으로 구성된 정재에 나타난 정재대형은 일렬대형․전후대형․2대 좌우대형․산작화무대형․품자대형․전후좌우복합대형이다. 일렬대형․전후대형․2대 좌우대형은 기존에 사용하던 대형이고, 전후좌우복합대형․산작화무대형․품자대형은 무용수 6인 구성에서 나타난 새로운 대형이다. 정재도를 통해 홀기에 기록된 정재대형과 배열 위치 그리고 북향무․상대․상배하는 춤 구조와 춤사위 형태를 확인하였다. 반면 홀기에 기록되지 않은 내용을 확인하였는데, <춘대옥촉>에서 협무 4인이 보등을 들고 추는 것과 일렬대형에서 북향하여 춤 출 때 팔을 펴든 위치가 대열기준으로 외수(外袖)로 든 것을 <고구려무>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무구[꽃]를 잡은 손이 대형에 따라 다른 것을 확인하였는데, <사선무>는 전대의 협무 2인이 외수로 잡았고, <연화무>는 산작화무대형에서 좌무와 우무가 각각 외수로 잡았다. 그러나 <춘대옥촉>에서는 전대의 3인이 오른손, 후대의 보등 1인이 왼손에 당을 잡아 정재대형에 따라 무구를 잡는 손의 위치가 달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대․상배는 무용수와 대열, 그리고 북(北)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박접무>․<첩승무>는 무용수 기준으로 하였고, 북쪽을 기준으로 혹면(或面)․혹배(或背)하는 것은 <춘광호>의 전대 2인과 <고구려무>의 제2대의 좌우무(左右舞)가 남향(南向)한 것을 통해 확인하였다. 대열 중심으로 내향․외향한 것은 <춘광호>에서 확인하였고, 회무(回舞) 또한 외선(外旋)하는 새로운 이동 구조가 만들어 졌는데 <최화무>에서 확인된다. 정재도마다 한 면에 1가지 대형에서 춤추는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의궤에 적게는 1점에서 많게는 12점이 수록되었다. 대부분 무도 내용이 같은 것을 제시하였고, 한 면에 여러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재별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제시하였고 홀기에 문자로 기록된 정재내용의 실제를 확인하게 하고 혹은 기록되지 않은 내용까지 반영하고 있다.

목차

I. 서론
 II. 정재도의 내용 검토
 III. 정재도의 내용 분석
 IV. 정재도 해석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손선숙 Son, Seon-Suk.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