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여성노인의 여가력, 가족상태에 따른 우울경향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epressive dispos i tion by Convergence approach of Leisure History and Family situation in Elderly Women

최혜정, 백순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vergence approach analyse the depression tendency by family situation and leisure history in the elderly who live in town house in Gyeonggi-do. This study analysed factors such as family situation, leisure history related to the depression tendency. This study selected 20 elderly people over 65 as research subjects and all data analysis was to conduct analyze by multi-variable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GDS showed 11 people(55%) presented with mild depression tendency(M=13.0) and 1 person(5%) showed severe depression tendency. 11 out of 30 questions in GD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epression degree. Individual disease typ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tendency statistically(F(3, 16)=4.534, p<.05). Past leisure satisfaction among total leisure history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tendency(F(2,17)=3.989, p<.05). The participants whose leisure activity was absent in the past and present showed a regressive depression tendency. Participants with no social companions also presented with the same. The study concluded to grasp the real condition of depression, and make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at, multilateral depression tendency analysis using diverse methods are necessary in the near future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tools.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력, 가족상태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노인의 우울성향을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평균 73.5세)의 여성노인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의 여가력 분석은 심층면접법으 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여가력을 파악하였으며 가족상태 설문은 가족의 형태, 동거여부 등 총 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우울증 측정은 Geriatric Depression Scrennng; GDS)를 이용하였 다. GDS결과에 따라 우울집단과 정상집단을 구분하였으며, 여가력, 가족상태를 통해서 파악한 노인의 우울성향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가력에서 여가의 만족도가 우울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F(2,17)=3.989, p<.05), 반면 여가력이 낮거나, 여가동반자가 없는 경우 높은 퇴행적 우울증상을 보였다. 가족상태 중에 본인의 질환 종류에 따라 우울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F(3,16)=4.534, p<.05), 그 외 동거유무, 동거인 의 건강상태가 우울성향의 평균값의 차이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 노인의 우울 증상은 표현력이 부족하여 우울성향 을 쉽게 파악할 수 없으나 오랜 과거력과 주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의 범주에서 확대하여 지역사 회 네트워크와의 관계와 우울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가에 있어서도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활동의 형태, 활동의 방법, 활동의 정도를 중심으로 한 일회적인 연구가 아니라 종단적 연구를 통해 향후 노인의 여가참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적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3. 중재방법
  3.1 측정 도구 및 방법
  3.2 자료분석
 4. 연구 결과
  4.1 GDS를 통한 노인의 우울 성향 분석
  4.2 노인의 여가력과 우울성향 분석
  4.3 노인의 가족상태와 우울성향 분석
 5. 논의
  5.1 GDS를 통한 우울 성향
  5.2 여가력과 우울 성향
  5.3 가족상태와 우울성향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혜정 Hye-Jung Choi. 안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백순기 Soon-Gi Back. 중원대학교 뷰티헬스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