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bridge exercises on the thickness of trunk muscles through ultrasound fusion imaging on 32 students. The thickness of the internal oblique (IO), external oblique (EO), transverse abdominis (TrA), and multifidus (Mf) muscles were measured in three different bridge exercises. The exercises included a supine bridge exercise, which was performed on a fixed support surface (Exercise A), a gym ball bridge exercise (Exercise B), and a sling bridge exercise (Exercise 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bridge exercises in the IO, TrA, and Mf muscles. The IO was thickest in Exercise B followed by Exercise A and C. In contrast, the TrA and the Mf muscles were thickest in Exercise C followed by Exercise A and B. Therefore, the sling bridge exercise may be a more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trunk muscle thickness than the exercises performed in other positions. Until recently, no previous studies had observed substantial changes in muscle thickness using ultrasound fusion imaging. This study suggests that sling bridge exercises contribute most to the activation of trunk muscles. Therefore,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bridge exercises in clinical practices.
한국어
본 연구는 융합형 초음파 영상(ultrasound fusion imaging)을 이용하여 세 가지 교각운동(bridge exercise) 방법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교각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그리고 뭇갈래근(multifidus)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교각운동 방법에 따라 배속빗근, 배가로근, 뭇갈래근에서 유의한 두께변화를 보였다.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은 exercise C(sling)에서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exercise B(gym ball)와 exercise A(fixed support surface) 순으로 증가하였다. 배속빗근은 치료용 볼을 이용한 교각운동 시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 순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슬링에서의 교각운동이 몸통 근육 두께증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최근까지, 몸통근육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슬링 에서의 교각운동이 많이 제안 되었지만, 융합형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다양한 교각운동의 처방과 적용 시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2.2 실험절차
2.3 운동방법
2.4 측정도구 및 방법
2.5 통계분석
3. 결과
3.1 운동 A 수행 시 몸통근육의 두께 차이
3.2. 운동 B 수행 시 몸통근육의 두께 차이
3.3. 운동 C 수행 시 몸통근육의 두께 차이
3.4 교각운동 방법에 따른 몸통근육 두께 변화
4. 고찰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