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본 국학의 우주론과 천문학적 지식의 접합 - 종교적 사상인가 과학적 사고인가 -

원문정보

The Impact of Astronomical Knowledge on the Cosmology of Japanese Neo-Shintoism

배관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eo-Shintoist thinkers in late-eighteenth-century Japan, faced with the findings of Western astronomy, attempted to reconcile them with their worldview based on mythology. The attempt continued for about 100 years to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form of controversy over the work of Hattori Nakatsune titled Sandai-ko. One participant was Hirata Atsutane, who proposed a theory of creation of the universe combined with a theory of the afterlife. Sato Nobuhiro built on Hirata’s theory with his own theory of the melting and creation of the world, continuing the debate on the ritual gods in the early Meiji Era. In the late Tokugawa shogunate and going into the Meiji Era, the Neo-Shintoist scholars were deeply involved in theorie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because they regarded cosmology as the backbone of Neo-Shintoism. At the time when foreign knowledge of astronomy was imported and the absolute belief in mythology was collapsing, the newly introduced scientific method on cosmology came to the fore as an issue of worldview. The result was a conflict of ideas. In the modern age of scientific research, the Neo-Shintoist theories of cosmology were abandoned on the grounds that they were absurd and unscientific. It is often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failure of the Neo-Shintoism movement in the Meiji Era lies in this way of thinking,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modern worldview.

한국어

18세기 말 일본의 국학자들 사이에서는 서양의 천문학에 기초하여 신화상의 세계관을 합리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은 19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약 백년 간에 걸쳐 핫토리 나카쓰네의 󰡔삼대고󰡕를 둘러싼 논쟁의 형태로 계속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히라타 아쓰타네의 유명론과 결합된 우주 창성론을 들 수 있다. 또 그로부터 발전한 사토 노부히로의 천지 용조화육론은 메이지 초기 신도계 내부에서의 제신 논쟁으로까지 이어진다. 근대 이후의 연구 관심에서 이들 국학적 우주론은 대개 황당무계하고 비과학적이라는 이유로 버려졌다. 메이지 국학 운동이 종언을 고한 요인이 바로 거기에 있다고 이야기될 정도다. 그러나 근대의 시선이 투영된 우리의 일반적 인식이나 평가와는 달리, 에도 막부 말기의 시대적 상황에서 우주 창성론은 국학의 중요한 경향으로서 틀림없이 존재했다. 당사자인 국학자들은 우주론이야말로 국학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신화에 대한 절대적 신앙이 붕괴하는 상황에서 이질적인 천문학적 지식이 유입되는 과정은 그때까지 부재했던 과학적 사고라는 과제가 세계관의 문제로 전면 대두되었다는 점에서 하나의 사상적 갈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사실과 기술의 문제
 Ⅲ. 세계 생성의 원리적 설명 지향
 Ⅳ. 우주론과 유명론의 단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관문 Bae, Kwan-mun.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