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천문관측지를 중심으로 본 고대 한민족의 활동지역

원문정보

The assumption of ancient Korean's activity area by records of ancient astronomical observation

김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ditional holidays are closely related with seasonal term. Each observer can watch particular astronomical phenomena when they stand on different place. For example, the Northern hemisphere is summer while the Southern hemisphere is winter. Thus even people who lift up their eyes to sky, can see different spac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o understand traditional ceremonies which came from ancient times, specialists need to consider where and when the ancient astronomical records were written. No matter how a territory of country is huge, the location of observation is a capital of the state, because ancient kings depend on a result of astrology when they decide important issues. So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lso needed to be studied by astronomical view. According to Korean-Chinese history books, the location of three kingdoms Goguryeo, Backjae, and Shinla, were situated from Manchuria to Korean peninsula. However astronomical records of three kingdoms didn’t match up the place of the countries. Furthermore it looks like observers wrote the record in main land of China. If the records are truth, they impart a new meaning to the North-East Asian history. Unfortunately there are not so many literatures in Asia because of wars and historical manipulation. But there is no doubt that astronomical results can give clue to solve the mystery of ancient Asian history.

한국어

전통명절은 절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절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은 천문관측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문관측을 할 때는 관찰자가 어느 지역에 있느냐에 따라 다른 천문현상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북반구가 겨울일 때, 남반구는 여름이다. 그래서 같은 날짜와 시각에 하늘을 보면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보는 별자리의 모양이 다르다. 같은 북반구라고 해도 위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천문현상을 보게 된다. 따라서 고대로부터 전래 되어 온 전통명절의 유래라던가 천문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관측자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천문관측을 했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아무리 국가의 영토가 넓어도 시간을 측정하고 천문을 관측하는 장소는 수도이기 때문이다. 고대의 지배자들은 수도를 중심으로 시간을 나누고 각종 절기의 시작을 알렸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전래되고 있는 많은 세시풍속들의 의미도 현재 한반도에 살고 있는 한민족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본래의 관측지를 찾아야 알 수 있다고 판단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일월오봉도와 바이칼 호수일대의 샤머니즘
  2. 삼국시대 천문관측기록과 위치
  3. 고구려와 몽골의 관계
  4. 홉스굴-바이칼 지역에서 바라본 ‘칠석’
  5. 일월오봉도와 일본천황, 초나라 문화로 본 신라의 대륙존재설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민 Kim, Jung-min. 몽골국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