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세포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NO 항상성에 관한 융복합 연구

원문정보

Convergence Studies of NO Homeostasis in Cellular Signalling

오희균, 도은영, 박해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aussurea lappa is known for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as a component but has not known to show the effect of the cellular signaling pathwa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Saussurea lappa ethanol extract on the LPS(lipopolysaccharide) 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by RAW 264.7 cell line. It shows the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RT-PCR). The Saussurea lappa ethanol extract showed transcriptional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 TNF-α and IL-1β induced by LPS(lipolysaccharide) in RAW264.7 cell line. Saussurea lappa ethanol extract reduced the LPS-indu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t the RNA leve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finding that ethanol extract of Saussurea lappa has an influence on NO (nitric oxide) homeostasis in the study of the action mechanism on the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action was considered in terms of convergence. And it is to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in the future.

한국어

목향(Saussurea lappa)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은 알려져 있으나 세포내에서 신호전달 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 Raw 264.7세포의 NO(nitric oxide) 항상성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LPS(lipolysaccharide)로 유도한 후, NO(nitric oxide) 생성억제력과 IL-1β(interleukin–1β), TNF-α(tumour necrosis factor-α), iNOS와 COX—2를 전사수준(transcriptional level)에서 발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RAW264.7 세포에서 LPS를 전처리한 후 유도되는 iNOS와 COX-2가 전사수준에서 발현 억제와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α와 IL-1β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 대식세포를 매개로 한 염증반응의 작용기전 연구에 있어서 NO(nitric oxide) 항상성에 영향이 있음을 융복합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향후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시약 및 재료
  2.2 세포분석
  2.3 Nitric oxide (NO) 측정
  2.4 RNA 분리
  2.5 cDNA 합성과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2.6 통계분석
 3. 결과
  3.1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세포 독성 평가
  3.2 추출물에 의한 NO(nitric oxide) 생성억제 활성 평가
  3.3 RT-PCR 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오희균 Hee-Kyun Oh.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도은영 Eun-Young Do. 광주여자대학교 긴호학과
  • 박해령 Hae-Ryoung Park.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