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원 능력개발

원문정보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허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on-going debate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ong teache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ew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we need many things including new teaching materials, new teaching methods, new classroom settings, etc. Among them, most of all, the professional ability of teachers become the crucial factor for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professional ability of teachers must be understood as a reflective practice which is concerned with making meaning with students in the classroom, rather than technical ability to transmit knowledge and informations from texts to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this lund of professionalism in teachers, we need to give them mor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curriculum making process, and more reliance on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한국어

학습자중심 교육을 표방하며 수준별 교육과 선택중심 교육을 큰 특징으로 하는 제7차 교육 과정은 학교현장에의 적용 초기부터 많은 논란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교사들은 학교 현장의 여건 미비를, 그리고 다른 편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적용과 전개를 단순히 문 서로 된 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도구적 행위로서가 아니라, 교사가 교실 속에서 학생들과 함께 의미를 만들어 가는 실천적인 성격으로 생각할 때,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은 새롭게 이해되지 않으면 안 된다. 교사의 전문성이란 단지 효율적인 전달자로서의 능력만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신의 교육 활동에서 의미를 추구하는 성찰적 연구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체제는 재검토 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의 능력과 전문성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한다.

목차

I. 서언
 II.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과 교원의 반응
  1.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2.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 태도
 III. 교육과정의 전개와 교원의 전문성
  1. 교육과정 전개의 두 논리
  2. 교육과정 전개와 교원의 전문성
  3. 교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몇가지 제언
 IV.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숙 Sook Hur. 인천교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