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론연구논문의 변화와 전망 : 1974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hanges and Prospects of Debate Studies : An Analysis of Papers Published from 1974 to 2013 in Korea

장동일, 김연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changes and progress of debate studies done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s. We analyzed 412 debate papers published from 1974 to 2013, and divided them into four periods by academic disciplines. The categories analysed were research material, topics, figures, methods, research subject and etc.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debate paper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Pedagogy(39.7%), Journalism and Broadcasting(20.7%),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7.3%), Humanities(8.3%), Social Sciences(6.8%), Interdisciplinary studies(5.3%) . Second, the flows of the debate studies in academic disciplines were found quite different. Web-based online debate and text-debate researches were very active in Pedagogy. On the other hand, in Journalism-Broadcasting & Social Sciences were active on television election debate and verbal debate. And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Humanities Korean were lively on debate education, debate style class, verbal debate, and literatures on debates. Third, the debate studies reflected the circumstances of society, and these cases were found in television debate studies prevalent during the elections for example. Mostly, researches were largely carried out in schools, online sites, television scene.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studies curriculum revision, election law amendm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a variety of on-site requirements. Recently the debate papers using the new media and comparing the debate effects between the media appeared.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에서 토론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74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12개의 토론연구논문을 네 시 기로 나누어, 학술연구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연구소재, 연구주제, 연구대상 인물, 연구대상물,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연구 분야별로 보면, 토론연구논문은 교육학(39.7%)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신문방송 학(20.7%), 한국어와문학(17.3%), 인문학(8.3%), 사회과학(6.8%), 학제간연구(5.3%) 순 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술연구 분야별로 토론연구의 추세와 특징이 달랐다. 교육학분야에서 는 웹기반 온라인토론과 글중심 토론연구가 활발하였고, 신문방송학·사회과학분야에서는 선거와 관련한 텔레비전토론과 말중심 토론이 활발하였으며, 한국어와문학·인문학분야에서 는 토론교육과 토론식수업, 말중심 토론, 토론 관련 문헌 연구가 활발하였다. 셋째, 토론연구 논문은 토론연구의 현장과 시기에 따라 변화하였다. 토론연구는 크게 학교현장, 온라인 현장, 텔레비전 현장에서 이루어졌다. 또 토론연구는 시기마다 교과과정개정, 선거법 개정, 인터넷 의 발달, 미디어의 발달, 현장의 요구 등의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 최근에는 새로운 매체를 활 용한 토론논문과 매체 간 토론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와 연구문제
  2) 학술연구 분야별 내용분석 현황
  3) 연구문제
 3.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논문 선정 및 분석기간
  2) 분석유목 및 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시기에 따른 학술연구 분야별 토론연구 현황(연구문제 1)
  2) 학술연구 분야별 토론연구의 특징과 추세(연구문제 2)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동일 Dong-Il Jang.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박사과정
  • 김연종 Yon-Jong Kim.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