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우 시 주거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during the Precipitation in Residential Area

권헌각, 임태효, 나승민, 이춘식, 천세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divided into small category groups for the residential area it was carried out monitoring for the runoff during precipitation.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according to the nonpoint sources Housing leakag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rainfall runoff and concentration of each type of exclusive detached house with apartments, in the majority of precipitation types runoff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early. In the case of a difference of two points per runoff rate rainfall it was largely investigation. The average runoff is estimated loadings of BOD 101.1 kg/km2, SS 232.2 kg/km2, T-N 18.2 kg/km2, T-P 2.0 kg/km2 detached house case, if the apartment was estimated at point BOD 108.82 kg/km2, SS 329.18 kg/km2, T-N 57.67 kg/km2, T-P 4.21 kg/km2. The average EMCs is BOD BOD 6.6 mg/L, SS 12.8 mg/L, T-N 1.518 mg/L, T-P 0.099 mg/L detached house case, if the apartment was estimated at point BOD 6.3 mg/L, COD 11.2mg/L, SS 14.5 mg/L, T-N 3.1 mg/L, T-P 0.2 mg/L. The initial 30 percentage calculated based on the initial results, the total flow of 30% if the outflow of detached house showed a net percentage difference to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 The apartment area showed the percentage difference in the water quality in the order of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 per ite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에 대해 세분류 형태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해 강우 시 유출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단독주거지역 및 아파트지역의 강우사상별 유출형태 및 농도 변화 형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강우사상에서 초기유출수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형태를 나타내었 으나 두 지점의 경우 강우량별 유출율의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평균 유출부하량은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BOD 101.0 kg/km2, SS 232.2 kg/km2, T-N 18.2 kg/km2, T-P 2.0 kg/km2이며, 아파트지역의 평균 유출부하량은 BOD 108.82 kg/km2, SS 329.18 kg/km2, T-N 57.67 kg/km2, T-P 4.21 kg/km2으로 산정 되었다. 평균 EMCs는 단독주거지역에 대해 산정된 평균 EMCs의 경우 BOD 6.6 ㎎/L, SS 12.8 ㎎/L, T-N 1.518 ㎎/L, T-P 0.099 ㎎/L로 조사되었다. 아파 트 지점 평균 EMCs의 경우 BOD 6.3 ㎎/L, COD 11.2㎎/L, SS 14.5 ㎎/L, T-N 3.1 ㎎/L, T-P 0.2 ㎎/L로 조사되었 다. 주거 형태에 따른 초기세척비율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총유출량 기준 초기 30%의 유출 시, MFFn 값 이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아파트지역 n=30에서 수질항목별 MFFn 값의 경우,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 대상 지점
  2.2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2.3 초기세척현상
  2.4 초기세척 비율
 3. 연구결과
  3.1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결과
  3.2 주거형태별 초기세척현상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권헌각 Heongak Kwon.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임태효 Toehyo Im.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나승민 Seungmin Na.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이춘식 Chunsik L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천세억 Seuk Cheon.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