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회피성 성격장애 치료를 위한 용기 이해와 기독교 상담에서 용기 구축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urage Understanding and Courage Establishment of Christian Counseling for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Therapy

박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psychological treatment method for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can be a temporary treatment, it cannot be a fundamental one. Therefore, a fundamental measure needs to be established which can achieve recovery and facilitate growth,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Courage can be a catalyst which can awaken the potential for recovery for those with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who need genuine relationship to trust and count on. This study conducts discussions focusing on the need for a plan to lead those with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to gain internal strength through establishment of courage in Christian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inquiry into the true meaning of courage, which has recently become a popular issue, is conducted with a Christian worldview. With a premise that courage can be a resource of restoration, a plan for cultivating courage is proposed theoreticall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urage establishment; First, biblical recognition of courage is enhanced. Second, Help is provided so as to acknowledge and accept a sense of fear. Third, Motivation is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encouragement, so that courage can be developed. Fourth, Courage is developed through community training. The research a limit has been put to a practical plan for building up courage. A study of a substantial methodology is proposed, using a group program for the future.

한국어

회피성 성격장애(avoident personality disorder)의 심리치료 대처 방안은 일 시적인 치료는 가능하나 근본적인 치료 방안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회복을 이루 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처 방안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마련하 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용기는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진정한 관계가 필요 한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회복의 잠재력을 깨울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독교상담에서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용기 구축을 통 해 내적인 힘을 갖도록 이끄는 방안이 필요하다는데 주안점을 두고 논한다. 연 구의 목적은 용기에 대해 그 의미가 무엇인지 기독교세계관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가 회복의 자원이 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문헌 연구를 통해 용기 구축 방안을 이론적으로 제안하는데 있다. 그 결과 기독교상담에서 용기 구축 방안은 첫째 용기에 대한 성경적 인식을 강화한다. 두 번째 두려운 감정을 인정하고 수용하도록 돕는다. 세 번째 격려를 통해 용기가 발생할 수 있도록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한다. 네 번째 공동체 훈 련을 통해 용기를 확장한다. 본 연구에서 용기 구축의 실제적인 방안은 한계를 두었으며, 향후 집단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여는 글
 II. 펴는 글
  1. 회피성 장애에 대한 이해와 치료
  2. 용기의 이해
  3. 기독교상담에서 용기 구축 방안
 III.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정 Yoon Jeong Park.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