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 고사리 축제를 위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 Design and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Jeju Gosari Festival

안미화, 장애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Jeju-do holds Mt. Halla Pure Gosari Festival annually as local cultural contents in order to spread out the excellence of Jeju Gosari as specialized resources. Event hough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are progressed, actually there is no memorable fashion culture product for the image of Gosari Festival.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emorable fashion culture product representing Gosari Festival.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tyle and formative features of Jeju Gosari, the study developed a modern sense textile pattern applied fashion culture product. And the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use as local special resources of the developed textile design and fashion culture product. Methods Textile patterning work was performed using Adobe CS5(Photoshop, Illustrator) and TexPro, a textile CAD program. After selecting Cheilanthes argentea (Gmel.)Kunze, Adiantum capillus-veneris L, Onychium japonicum(Thunb)Kunze and Adiantum capillus-veneris L which are representative in formative characteristics, textile patterns were developed using repetitive arrangement style of Proctors' diamond pattern and square pattern, a set layout method. Result To figure out if it can be applied to fashion culture product, it was applied to various product line and design mapping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bags and scarfs using DTP printed material (canvas and silk) with textile pattern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design are produced and also t-shirts with motif, repeat and textile pattern inserted are produced as memorable fashion culture products. Conclusion Such results will attract attention to the Jeju regional festival and play a guideline in developing various memorable fashion culture product development.

한국어

연구배경 제주도는 지역문화 콘텐츠의 일종으로 매년 한라산 청정 고사리 축제를 개최하여 제주고사리의 특화자원으로써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체험위주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를 대변하는 고사리축제 이미지의 기념적인 패션문화상품이 전무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 축제를 대변하는 기념적인 패션문화상품을 위해, 제주고사리의 형태 및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개발한 현대적 감각의 텍스타일 패턴을 적용한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제주고사리를 근거로 개발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이 지역적 특화자원으로도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 텍스타일 패턴화 작업은 Adobe CS5(Photoshop, Illustrator)와 텍스타일 캐드 프로그램인 TexPro를 사용하여 제주고사리 중 조형적 특징이 두드러진 부싯깃 고사리, 봉작 고사리, 선바위 고사리, 섬공작 고사리를 선택하여 양식화한 모티브를 도출한 후 세트 레이아웃 방식인 프록터의 다이아몬드 패턴, 스퀘어 패턴의 반복배열형식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패턴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패션문화상품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상품 군에 적용하여 디자인 맵핑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의도에 따라 선택한 텍스타일 패턴을 DTP로 출력한 소재(캔버스, 실크)를 이용한 가방과 스카프, 실크스크린 작업을 통해 모티브, 리피트, 텍스타일 패턴을 삽입한 티셔츠 등의 기념적인 패션문화상품을 실질적으로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그 결과를 통해 제주지역 축제에 대한 관심 유발은 물론 다양한 지역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축제 문화와 연계된 다양한 기념적인 패션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지침서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논문요약 (스타일: 요약제목)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제주 고사리 축제
  2.2. 제주 고사리의 조형적 특성 및 모티브개발
   2.2.1. 부싯깃 고사리
   2.2.2. 봉작 고사리
   2.2.3. 선바위 고사리
   2.2.4. 섬공작 고사리
 3. 제주 고사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1. 부싯깃 고사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2. 봉작 고사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3. 선바위 고사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4. 섬공작 고사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미화 Mi-hwa Ahn.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 장애란 Ae-ran Jang.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