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원지역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들의 건강행동에 대한 건강신념 수준 비교 - 전통 식생활에 대한 건강신념 수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isons of Health Belief Levels on Health Behaviors of Pre-service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 Focused on the health belief level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

정경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of dietary habits, health belief levels on several health behaviors of pre-service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total 499 persons) by survey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etary habits of the subjects were not desirable, especially in men or pre-service teachers. The scores of perceived benefit on health behaviors were all over 4.0 score. The score of perceived benefit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was the lowest among the health behaviors. The scores of perceived barrier or self-efficacy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were just so-so. The score of health behaviors practices were all under 3.0 and significantly lower in men or pre-service teachers. The scores of health behaviors practices were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perceived barrier or self-efficacy stronger than with score of perceived benefit. The level of the correlation was the lowest at the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In conclusion, men 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more problems on their dietary habits, health belief levels and practices levels on the health behaviors than women or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for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s necessary, specially for men 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health belief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한국어

본 연구는 2014년 6월에서 8월까지 강원지역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 총 499명을 대상으로 식습관, 성인을 위한 식생활지침과 우리 전통 식생활에 대한 건강신념 수준 및 실천 수준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은 3.13±0.58점으로 보통 정도로 조사되었고 남자 보다 여자, 예비교사 보다 현직교사의 식습관이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행동에 대한 인지된 이익 점수는 모두 4.0점 이상으로 보통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전통 식생활의 경우 인지된 이익 점수가 가장 낮아(4.08±0.59점) 다른 건강행동에 비해 전통 식생활 실천에 따른 건강상의 이익에 대한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들의 인지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통 식생활에 대한 인지된 장애(3.13±0.62점)나 자아효능감(3.63±0.75점) 점수는 모두 보통 정도의 점수를 보였다. 모든 건강행동의 평상시 실천 수준 점수는 3.0점 미만으로 보통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여자 보다 남자의, 현직교사 보다 예비교사의 실천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건강행동의 실천 수준은 인지된 이익 보다는 인지된 장애나 자아효능감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전통 식생활의 경우 다른 건강행동과 비교시 상관관계의 정도가 작아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건강신념이 확고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별로는 여자 보다 남자에서, 교직경력별로는 현직교사보다 예비교사에서 식습관, 건강행동에 대한 건강신념 수준 및 실천 수준에 문제가 발견되어 개선이 요구되는바 이러한 성별, 교직경력별 차이를 이해하고 학교 수업과 교사연수에서 맞춤형 전통 식생활 교육을 한다면 보다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다른 건강행동에 비해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건강신념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예비 및 초등교사들의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건강신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및 내용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일반사항
  2. 식습관 실태
  3. 건강행동에 대한 건강신념 수준
  4. 건강행동 실천 수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경아 Jung, Kyung Ah. 춘천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