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저탄소 녹색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한 건설현장소장의 업무분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ask Analysi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for Building Low Carbon Green Tourism Infrastructure

조현조, 안영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 green tourism infrastructure environmen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mpleting a construction project and achieving a construction company’s performance.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ask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at green construction sites. The findings suggest that workload, importance, difficulty, performance capability, and work burden index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are the highest in the stage of preparation, which generally follows the stages of support, construction management, completion, and green management. Therefore, we need to alleviate the workload in the stage of preparation and strengthen the training in the stage of green manag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저탄소 녹색관광인프라 구축 시, 건설현장소장에게 요구되는 역할 중 기존의 관리업무이외에 녹색관리업무에 대해서도 새롭게 조명해봄으로써, 지속가능한 신성장모형을 설계하는데 실질적으로 이용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건설업체 현장소장의관리업무에 녹색관리업무를 추가하여 업무프로세스를 준비, 지원, 공사, 녹색관리, 준공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단계별로 현장소장에게 요구되는 업무량, 중요도, 난이도, 업무수행능력, 업무부담지수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건설업체 현장소장의업무량, 중요도, 난이도, 업무수행능력, 업무부담지수 등은 대체로 준비단계, 지원단계, 공사관리단계, 준공단계, 녹색관리단계의 순서로 크게 나타나, 준비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부하가 많이 걸리는 반면 녹색관리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부하가 적게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준비단계에서는 가급적 업무부담을 경감시키는 조치를 취할필요가 있고 녹색관리단계에서는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현장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1. 설문조사의 방법과 범위
  2. 설문응답자의 개요
 Ⅳ. 분석결과
  1. 현장관리의 업무량
  2. 현장관리의 업무중요도
  3. 현장관리의 업무난이도
  4. 현장관리의 업무수행능력
  5. 업무부담지수 분석
  6. 순위도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현조 Cho, Hyeon-Jo.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 안영규 Ahn, Young-Gyu. 동국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