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스마트도시 개념의 변화와 비교 : 서울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hange and Comparison of Smart City Concept : a Case of Seoul

강명구, 이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urban agglomeration. As many people live and work in a small area, the city and its citizens can enjoy the benefit from division of labor, economies of scale, agglomeration economies, diversity, value added from trade, and so forth. However, as many people live and work in a small area, the city and its citizens may suffer from congestion, pollution, short of public services, and so forth. Smart city is a city that maximizes the utility of agglomeration and minimizes the disutility of congestion with advanced technology. Smart city is a city that successfully solves the tasks it faces and develops itself as a future-oriented city using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 and new rules. Today, the cities of the world are looking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ir public services and create a bi-lateral governance system that work alongside its citizens and an eco-friendly city that adapts to the change in climate. In addition, in the developing worlds, it is a city that adequately makes use of the available lands, protects the natural areas, promotes economic growth and fights poverty. A 'smart city' ultimately is a city that resolves all of the above given task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ith new technology and new rules, in order to improve its livability, prosperity, and sustainability.

한국어

도시의 계획 및 개발에서 ‘스마트 도시’에 대한 화두가 최근 급격히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Amsterdam Smart City, Smart City Wien, Smart City Expo, Smart Cities Summit, Smart City Council 등이 최근 등장했다. 비슷한 시기에 IBM, Cisco , Siemens 등의 글로벌기업에서도 스마트 도시를 주요 주제어로 다루고 있다. 인도에서는 스마트 도시를 100개 건설한다는 발표를 하였고, 중국은 수백 개의 스마트 도시를 만들려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유럽에서도 스마트 도시 건설을 의제로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 도시 건설이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도시의 개념은 아직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 ‘스마트 도시’라 할 때도 기본적으로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너무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거나 도시의 모든 측면을 포괄하게 되면, 스마트 도시는 모든 것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인데, 이는 아무것도 될 수 없다는 말과 동일해진다. 스마트 도시를 정의할 때, 스마트 도시가 아닌 것이 무엇인지를 구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스마트 도시를 파악하고자 하는 관계론적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개념의 경계를 정하여 스마트 도시가 아닌 것을 배제함으로써 스마트 도시를 규정하는 관계론적 방식이 항상 적절한 것은 아니다. 이보다는 스마트 도시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을 분명히 하여 스마트 도시라는 개념의 중심을 잡는 방식이 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도시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정의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해 볼 것이다. 나아가, 서울의 사례를 살펴 봄으로써 스마트 도시의 개념에 대하여 다시 한번 발전시키며 동시에 서울의 사례에서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선진국(developed world)의 스마트 도시 개념
  2.2. 개발도상국의 스마트 도시 개념
  2.3. 스마트 도시의 개념 소결
 3. 서울시 대중교통 혁신 사례
  3.1. 대중교통 혁신 배경
  3.2.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대중교통 혁신
  3.3. 스마트 도시의 스마트 교통: 새로운 기술 + 새로운 규칙
 4. 서울시 e-Governance 혁신 사례 (OPEN) 분석
  4.1. OPEN 도입의 배경
  4.2.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e-Governance: OPEN
  4.3. OPEN 의 효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명구 Kang, Myounggu.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이창수 Lee, Chang-Soo. 가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