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6회 진각논문대상 논문

회당의 육자관행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six-lettter-mantra-chanting-yoga

혜담정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fers to the study on jingak-sammil(眞覺三密) or jingakyeomsong( 眞覺念誦) or six-lettter-mantra-chanting-yoga(六字眞言三密). Jingaksammil is a method of spiritual enlightenment. This paper contains the procedure of jingak-sammil The meaning of jingak-sammil is matching the spirit of disciplinant with the dharma-kaya(法身佛). Jingak means the enlightenment of Dharma. And sammil means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or the three way of enlightenment. And the dharma-kaya is the symbol of spiritual enlightenment. With chanting six-letter-mantra, jingak-sammil uses hand and mouth and mind in order to s ynchronize with the dharma-kaya. Usually sixlettter- mantra-chanting(六字眞言念誦) is said a yeomsong(念誦). The character of jingak-sammil is on Mandala compared with a traditional-sammil. Mandala represents the enlightenment of Dharma and is used as a tool of sammil-practice. The traditional sammil-practice uses a symbolic things as Mandala like altar or paper portrait of Buddha. However, jingak-sammil uses a disciplinant’s real life as Mandala. So the procedure of jingak-sammil is to s ynchronize the dharma-kaya or Mandala with his daily life. It means that his daily life must coincide with the dharma-kaya. So he or a disciplinant must doing his daily work as rightly as the principal of Dharma or the life of Lord Buddha. The procedure of jingak-sammil is as follows. The method of jingaksammil consists two steps. The first step is observing the mind of disciplinant with six-lettter-mantra-chanting-yoga. Then detect the mind of Buddha or the principal of Dharma in his mind using repentance. And the second step is executing the mind of Buddha in his day-life-suffering or Dukkha with six-lettter-mantra-chanting-yoga. The first step is practiced at Simindang or the place of discipline and then the second step is at day-lifeplace.

한국어

본 논문은 진각종에서 행하는 육자진언의 염송 수행법에 관한 내 용이다. 진각종의 종조 회당은 육자진언의 염송 수행법을 밀교의 관 법과 삼밀의 수행형태로서 교리화하였다. 이를 육자관행(六字觀行) 혹은 육자관행 삼밀이라고 한다. 본 내용은 육자관행 삼밀에 대해 그 의미와 특징 그리고 수행절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밀교의 삼 밀과 관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밀교 수행법의 특징은 관 법(觀法) 수행이며 그 대상은 만다라로 삼고 있다. 관법 수행이란 깨 달음의 세계인 만다라를 관하여서 수행자 자신도 동일한 깨달음을 성 취하는 수행법이다. 즉 깨달음의 세계에 수행자의 몸과 말과 뜻으로 서 몰입하는 수행법을 말한다. 이때 깨달음의 세계를 법신불(法身佛) 이라 하고 수행자의 신구의를 인계(印契)와 진언(眞言)과 관(觀)으로 서 각각 행한다. 이와 같이 수행을 통해서 신구의로서 법신불과 일체 화하여 깨달음을 성취하는 수행법을 삼밀(三密) 혹은 신구의 삼밀이 라고 말한다. 회당의 육자관행 삼밀에 대하여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육자관행 삼밀은 삼라만상(森羅萬象)을 만다라로 삼아 육자로서 행하는 육자관법(六字觀法) 수행을 통해 법신불(法身佛)과 일체화하는 신구의 삼밀(身口意 三密)이다. 육자로서 행하는 육자관 법 수행이란 육자(六字)가 의미하는 부처마음을 마음으로 관(觀)하 고 그리고 부처마음을 몸으로 행하여서 해탈의 깨달음을 성취하는 삼 밀이다. 이를 육자관행 삼밀이라고 지칭한다. 다음으로 육자관행 삼밀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육 자관행 삼밀은 심인당과 생 활처에서 육자진언으로 염송하는 수행법이다. 곧 심인당(心印堂)에 서는 육자를 마음으로 관하여 부처마음을 찾고 생활처(生活處)에서 는 육자를 몸으로 행하여 부처마음을 실천하여서 해탈의 깨달음을 성 취하는 수행법이다. 이처럼 생활 가운데에 부처마음을 실천하여서 깨 달음을 성취하기 때문에 육자관행 삼밀의 수행법을 생활중각(生活中 覺)의 수행법 혹은 생활불교의 수행법이라고 말한다. 또한 육자관행 삼밀의 수행법은 생활처에서 행하는 부처마음 실천을 통해 자력적으 로 해탈을 성취하는 수행법이다. 이를 자력불교의 수행법이라고 말한 다. 다음으로 육자관행 삼밀의 절차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육자 관행 삼밀의 절차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심인당에서 마음 으로 육자를 관하는 육자관 삼밀절차와 다른 하나는 생활처에서 몸 으로 육자를 행하는 육자행 삼밀절차이다. 육자관 삼밀절차는 단시행 (檀施行)·교리참회(敎理懺悔)·삼밀행(三密行)·회향참회(廻向懺 悔)이다. 육자행 삼밀절차는 단시행과 삼밀행으로 하는 복지전수(福 智全修)·사리필구(事理必究)·생활취사(生活取捨)·결과내증(結 果內證)이다. 이를 사지사력(四智四力)이라고 지칭한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밀교 법신불과 삼밀
  1. 밀교 법신불과 보리심
  2. 밀교 삼밀과 관법
 Ⅱ. 진각 법신불과 육자관행 삼밀
  1. 진각 법신불과 오불
  2. 육자관행 삼밀과 법신만다라
 Ⅲ. 육자관행 삼밀의 특징
  1. 진언염송의 삼밀수행법
  2. 단시행과 삼밀행의 불공수행법
  3. 삼밀선정의 본심수행법
  4. 육자관행 삼밀의 특징
 Ⅳ. 육자관행 삼밀의 절차
  1. 심인당의 삼밀절차
  2. 생활처의 삼밀절차
 참고 문헌
 Abstact

저자정보

  • 혜담정사 Lee, kyung-taek. 교법연구 국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2,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