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알타이 언어의 영향에 의한 중국어 어순 유형의 변화 ― 《老乞大》에 나타난 어순과 후치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ypological change in Chinese word order caused by the influence of Altaic languages - Focused on the word order and postpositions appearing in Nogeoldae

愼鏞權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 중국어 학습서인 《老乞大》 등을 주요 연구 자료로 삼아서 북방민족의 언어인 알타이 언어가 중국어의 유형 변화에 미친 여러 사례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중국어 자체의 요인에 따른 유형 변화 이외에 외부의 요인이 어떤 방식으로 중국어의 유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中國 北方의 漢人 또는 漢化된 북방민족이 사용했던 언어인 漢兒言語의 특징은 元代의 자료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老乞大》의 초기 간본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찾아볼 수 있고 문법 부분에서는 이 문헌들에 나타난 어순과 후치사의 예를 통해 잘 나타난다. 《老乞大》의 후기 간본에서는 북방민족 언어의 영향에 의한 유형 변화가 기본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淸代에 나타난 滿式漢語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老乞大》 간본과 관련 자료에 나타난 漢兒言語 및 滿式漢語의 문법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어의 역사에서 주변의 알타이 언어와 접촉한 결과로 나타난 중국어 어순 유형 변화의 양상과 그 언어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주요한 목적이다.

중국어

一種语言與其他语言全面接觸时,经常伴随着语言变化。一個民族征服其他民族,或者民族大规模迁徙时,两個民族使用的语言的音韵、词汇、语法等方面都会相互影响。汉语也是在这样的历史过程中,通过语言接觸的各種现象,发生了许多变化,甚至产生語言类型的变化。例如,经过辽、元、金而出现的汉兒言语就是汉语與北方民族语言接觸而产生类型变化的典型代表。汉兒言语不仅能够说明语言接觸影响汉语,而且对汉语口语的发展也发挥了重要的作用。因此,可以认为汉兒言语的形成在一定程度上反映了北方民族语言对汉语的影响。汉语和蒙古语在元代开始全面的接觸,在这一时期的汉语资料中,词汇、语序和後置词等與语言类型相关的核心部分由于受到北方民族语言的影响发生了变化。但是,汉兒言语系統并没有被持续的保留下来,而是逐渐的消失,只留下了一些痕迹。 本文以朝鲜时代使用的汉语会话教材《老乞大》为主要资料,通过对北方民族语言——阿尔泰语影响汉语类型变化的幾個事例进行考察,除内因可以引起汉语的类型变化之外,外因对汉语的类型变化也会产生影响,本文尝试了考察外因的作用方式。汉兒言语的特徵主要體现在元代的资料中,本文的研究对象《老乞大》的初期刊本中也可以找到这样的特徵。在语法部分,此文献的语序和後置词的例子可以很好的體现这一特徵。考虑到元代的社会政治環境,可以知道蒙古语明显对元代汉语产生了影响。因此,《老乞大》中體现汉兒言语特徵的词汇或者特殊的语序,以及後置词所表现的幾種语法功能也可以从汉语和北方民族语言的接觸的角度进行考察。《老乞大》的初期刊本中所體现的汉兒言语现象比较明显,後期刊本中却幾乎消失了。这说明在後期刊本发行的时期汉语已经摆脱了阿尔泰语的影响,进入自身发展的道路。这種现象也可以被看做是明代以後开始形成的官话系統取代汉兒言语的过程。清代满语和汉语的接觸过程中出现的特殊形式的汉语——满式汉语的存在已经得到证实,因此,对这一问题,需要进一步的深度讨论。本文参考了较好地反映了元代汉语直译體特徵的《元朝秘史》,《元典章》,《孝经直解》等文献的例文,以及體现满式汉语的文献中的例文。本文旨在通过考察多個版本的《老乞大》 资料所體现的汉兒言语和满式汉语的语法特徵,观察汉语发展史中,與周边阿尔泰语的接觸给汉语带来的变化以及其语言特徵,了解近代时期汉语與周边语言的接觸所引起的汉语类型变化的现象。

목차

1. 머리말
 2. 元代중국어 자료 《老乞大》와 漢兒言語
 3. 《老乞大》에 나타난 漢兒言語적 특징의 어순과 후치사
 4. 淸代의 滿式漢語
 5. 맺음말
 參考文獻
 中文摘要

저자정보

  • 愼鏞權 신용권.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