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Elderly with Dementia

홍기훈, 주아영, 구성민, 김윤완, 정혜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shown that effects of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dementia elderly. Methods : In this study, dementia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ho has used K Welfare Center of da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imhae, the experimental group(14 patients) and control group(15 patients)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experiment twice a week, total of 12 times. Using the evaluation tool of Korea type elderly depression scale(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dementia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Results : Experimental group of GDS-K was pre-score was 20.8 ± 1.4 point, post-score was 13.5 ± 1.7 point 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z=-3.30, p<.0.5), Pre-score of controlled group is 20.9 ± 2.3 point post score was 21.0 ± 2.6 poi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depression than control group(p<.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shown that reminiscence program help depression of dementia decreased. Therefore, reminiscence program that anyone can easily adapt is proposed as a method of reducing depression in dementi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김해시에 소재한 K복지관의 주간 보호시설을 이용하는 29명의 치매노인을 실험집단(14명)과 통 제집단(15명)으로 나누어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로 회상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의 우울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실험집단의 GDS-K 점수는 집단회상프로그램 전 20.7 ± 1.4점, 후 13.5 ± 1.7점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z=-3.30, p<.05), 통제집단의 GDS-K 점수는 집단회상프로그램 전 20.9 ± 2.3점, 후 21.0 ± 2.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집단회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우울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손쉬운 접근과 적용이 가능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치매노인의 우울 감소 치료의 한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Abstract

저자정보

  • 홍기훈 Hong, Ki-Hoo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주아영 Ju, A-Young.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구성민 Koo, Sung-Mi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윤완 Kim, Yun-Wa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정혜림 Jung, Hye-Rim.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