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신학적 고찰

원문정보

A Theological Reflection on Bivocational Ministry

김승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logical validity of bivocational ministry. Nowadays, lots of Korean pastors are classified as bivocational pastors, and the number of them will continuously increase. The reason of that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pastors who are involved in church planting these days. Without any support from other sources, the pastors can not easily cope with financial problem. In this situation, most of them choose other jobs for a living besides church ministry.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ological discussion of bivocational ministry rather than the bivocational pastor's situation. As a basic work, this study is trying to reflect three theological notions related to bivocational ministry such as universal priesthood, vocational calling, and mission of God (Missio Dei). Specifically, these three notions include the Luther and Calvin's notion of universal priesthood, understanding of work and vocation in relation to vocational calling, and changing understandings of mission of God in church history. Moreover, we will discuss whether these three theological notions have some implications for bivocational ministry. Firstly, three positions will be introduced whether universal priesthood permits bivocational ministry or not. Secondly, we will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calling and bivocational ministry. In this part, the study on the various sources of the Luther's financial income will be suggested. Thirdly, we will search for what sort of implications will result relating to the concept of mission of God. In this part, we will discuss some theories of Paul Stevens, Leland Ryken, and Os Gu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bivocational ministry can be an important type of ministry as a supplement of full-time ministry within Korean church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직 목회의 신학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국내 목회자들 가운데 이중직 목회자로 분류되는 이들은 현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것은 교회개척을 시도하는 목회자들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는 현실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교회개척과 교회사역을 위한 재정 그리고 목회자 가족의 생계비 등을 복합적으로 충당할 수 있는 재정은 이전 시대에 비해 훨씬 더 큰 부담으로 목회자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다. 모 교회의 지원을 받아 교회를 개척하는 경우에는 스스로 개척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담을 가질 수 있지만, 여전히 재정적 부담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특히 소명형 이중직 목회자를 제외하고서도, 이중직 목회자들 대부분은 생계형 이중직 목회자들로 분류되고 있다. 다른 특별한 지원을 받지 않는 한, 이들 대부분은 목회 직 이외의 다른 직업을 가지지 않으면 생계 자체를 위협받는 상황이어서 이중직의 선택은 이들에게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다. 이런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목회자 이중직 허용 여부에 대한 논의가 목회자의 현실적 상황에서 출발할 것이 아니라 신학적 논의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입장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작업으로서 본 연구는 만인제사장직, 직업소명설 및 하나님의 선교 등 이중직 목회와 관련된 세 가지 신학적 개념들을 차례로 성찰할 것이다. 더욱이, 본고는 이 세 가지 신학적 개념들이 이중직 목회를 위해 어떤 함의를 갖고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첫째, 만인제사장직 개념이 이중직 목회를 허용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둘째, 직업소명설과 이중직 목회 사이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이 부분에서, 루터의 재정수입의 다양한 근원들에 대한 연구가 제시될 것이다. 셋째,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이중직 목회에 어떤 함의가 있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폴 스티븐스, 리랜드 라이큰, 및 오스 기니스의 이론들을 논의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에서 이중직 목회가 전임제 목회를 보충하는 하나의 중요한 사역 형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신학적 개념
  1. 만인제사장직
  2. 직업소명설
  3.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
 III. 논의와 함의
  1. 만인제사장직
  2. 직업소명설
  3. 하나님의 선교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호 Kim, Sung-Ho. 영남신학대학교 교수, 기독교윤리학, 실천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