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 변화

원문정보

Influence of exercise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김우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xerci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The subjects consisted of 231 older adults (91 male, 140 female) by convenience sampling residing in city D. The collected date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ukey HSD,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IN 21.0 program. Moreover,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a=.05.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exercise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became higher, their exercise self-efficacy became higher as well. 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became higher, their perceived health status became higher as well.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exerci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This study identified that exerci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a possible relationship with exercise stages of older adults. This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 better health promo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확인하여 노인의 운동행위에 대한 융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60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231(남:91, 여: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연구 대상자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 보기위해 One-way ANOVA와 Tukey HSD 사후 검증,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들의 운동자기효능감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운동행동의 단계가 보다 상위단계로 올라감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들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 운동행동의 단계가 계획 전 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 보다 행동단계와 유지단계에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의 운동행동 변화단계가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의 운동행동 변화단계가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 84.3%와 59.8%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긍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행동의 단계가 상위단계로 올라 갈수록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조사도구
  2.3 실험절차
  2.4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노인들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
  3.2 운동행동 변화단계가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우철 Woo-Cheol Kim. 대구보건대학교 스포츠재활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