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학부생의 빅데이터 인식 분석을 통한 교육정책 제언

원문정보

Educational Policy Proposals through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Bigdata for University Students

노규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 despite the increase in demand for Bigdata manpower,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to educate and train Bigdata manpower are not yet muc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regarding the recognition on Bigdata of universities students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educating Bigdata manpower at the univers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Bigdata, the awareness of the students about the social impact of Bigdata, the learning intention of the students on Bigdata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Bigdata workforce development. As a result, despite of the somewha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for the Bigdata, it was found that their awareness about the impact of Bigdata is very positive. And this study showed the need of universities' and government' political effort for Bigdata workforce development, because it was investigated that students' intentions of learning for Bigdata is proportional to students' understanding levels and learning experience for Bigdata.

한국어

국내의 경우 빅데이터 인력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력 양성 대학이나 기관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인식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의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이해도와 빅데이터의 영향에 관한 인식 차이 및 학습의향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빅데이터 인력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빅데이터에 관한 다소간의 이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의 영향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학습 의향은 학습경험과 이해도에 비례한 것으로 분석되어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위한 학교와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빅데이터의 인력양성 실태
  2.2 빅데이터 인력양성에 관한 선행 연구
  2.3 빅데이터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
 3.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3.1 연구설계와 가설 설정
  3.2 표본 설정과 자료 수집
 4. 분석결과 및 해석
  4.1 통계적 특성간 차이 분석
  4.2 분석결과의 해석과 정책적 함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노규성 Kyoo-Sung Noh.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