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경주 구황동 塔址의 石塔材 고찰 : 異型石塔說에 대한 再論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Stone Pagoda Material of Guhwangdong Pagoda Site : Focused on re-discussion about the theory of different style in stone pagoda

경주 구황동 탑지의 석탑재 고찰 : 이형석탑세에 대한 재론을 중심으로

김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4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s similar to those in the tabernacle of first body in Bunhwangsa stone pagoda, and two types of stones, capstone and roof stone, which was a standard pagoda configuration during Unified Silla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Andesite and pieces of roof tile have also been found around the site. There are two divided views of estimating the type of composition of the Guhwangdong pagoda site on the basis of these pagoda materials. One is understood to be the same type of Bunhwangsa temple mojeonsoektap(imitation brick pagoda), and the other is the stone pagoda of special form(ehyeonseoktap), which is a mixed shape of a stone brick pagoda and a standard type. In particular, the latter is understood to be andesite,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stone pagoda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hows that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stone pagoda material are not used to build a pagoda. In other words, Guhwandong pagoda is composed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the same material used at Bunwhangsa stone pagoda, and andesite. However, standard stone material is absent in the pagoda on the Guhwagdong pagoda site. To verify this, we first looked at the context of the histo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y analyzing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stone material. Then we studied the possibility of an influx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pagoda stone, into the original Guhwangdong pagoda site. Then we suggested that it is likely that the standard ston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only standard pagoda stone material, of which there was alarge influx at that time. Standard pagodas of similar sizes consist of a body support and tiered roof support(5 level bridging stones). These are found in the standard stone material of the Guhwangdong pagoda site. In addition, the size, proportion, ratio, and style traits of the pagoda stone material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standard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As a result, standard pagoda stone material was determined by the absence of a standard pagoda construction since the ninth century. It illustrates that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reason for the absence of similar styles of pagoda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time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which is estimated between mid and late 7th century. In addition, the method of leveling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is very similar to that of Bunhwangsa stone pagoda. It is also identified the similarity in the size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width of upper aspect of tabernacle and the size of the tabernacle opening. The size of stone alignments (650x650cm) identified on the the base is also compared to the first body support of imitation brick pagoda in Bunhwangsa temple. Through the presence of andesite recovered from the surroundings of the site, it is speculated that there were stone pagodas similar to the brick-like stone pagoda of Bunhwangsa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in the mid 7th century. It seems unreasonable to recognize it as a mixed-styled pagoda of standard and imitation brick pagoda considering the scale of Guhwangdong pagoda.

한국어

경주 구황동 탑지에는 분황사 석탑의 초층탑신에 감실과 함께 구비된 금강역사상 판석과 유사한 금강역사상 판석 4개와 통일신라시대 일반형 석탑의 部材(이하 일반형 석탑재)인 갑석재와 옥개석 2개 등이 있다. 그리고 주변에서는 안산암석재와 와편 등이 확인되고 있다. 殘存한 이들 석탑재를 바탕으로 구황동 탑지에조성되었던 석탑의 형식을 추정하는 견해는 크게 두 가지 정도로 구분된다. 분황사 모전석탑과 같은 형식으로 이해하는 경우와 모전석탑이 아닌 특이하고 변형된석탑 즉, 모전석탑 방식과 일반형 석탑의 형식이 혼합된 異型石塔으로 보는 것이다. 특히, 후자는 안산암석재와 금강역사상 판석 그리고 일반형 석탑재가 동일한석탑의 부재로 사용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반해 본고는 구황동 탑지에 있는 금강역사상 판석과 일반형 석탑재가 동일한 석탑의 부재가 아님을 연구한 글이다. 다시 말해 금강역사상 판석은 안산암석재와 함께 분황사 모전석탑과 동일한 형식으로 조성된 탑부재이며, 일반형 석탑재는 이와는 별개인 일반형 석탑의 부재임을 추론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구황동 탑지에 있는 금강역사상 판석과 일반형 석탑재의 현상및 일제강점기 당시의 정황을 분석하여 금강역사상 판석은 원래 구황동 탑지에있었고, 일반형 석탑재는 구황동 탑지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큰 일반형 석탑재만으로 별개의 일반형 석탑이 구성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일반형 석탑은 대개 갑석의 탑신받침석과 옥개석 5단받침석의 규모가 비슷한 크기로 조성되는데, 구황동 탑지의 일반형 석탑재 간에서 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석탑재의 크기, 비례,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통일신라시대 일반형 석탑과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구황동 탑지의 일반형 석탑재는 9세기 이후 제작된 일반형 석탑의 부재로 판단되었다. 이는 구황동탑지의 금강역사상 판석에서 像의 제작시기로 추정되는 7세기 중․후반과 시기적 차이를 보여 동일한 석탑의 부재로 파악하는 것은 再考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구황동 탑지의 금강역사상 판석의 치석수법은 분황사 석탑과 매우 흡사한데, 금강역사상의 크기와 감실 上面의 상인방석이 높일 곳의 너비와 감실 開 口部의 크기까지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단부에서 확인되는 石列의 크기(650cm×650cm)는 분황사의 초층탑신받침석과 비교되는 크기이기도 하다. 이 모든 현상과 주변에서 수습되는 안산암석재의 존재를 통해 7세기 중․후반, 구황동탑지에 분황사 모전석탑의 형식을 띤 석탑이 조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규모를 참작하고 현재 잔존하는 일반형 석탑재와 그 크기를 살펴볼 때 모전석탑과 일반형 석탑이 혼재된 이형석탑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구황동 塔址에 대한 연구동향
 Ⅲ. 석탑재 관련 情況과 현상 분석
  1. 금강역사상 판석
  2. 방형사리공석과 일반형 석탑의 部材
 Ⅳ. 일반형 석탑 部材의 제작 시기
  1. 갑석재
  2. 옥개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현 Kim, Ji Hyun.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