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 문]

기업과 인권문제에 있어 정부와 기업의 책무

원문정보

The Role of the State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in Respect of Business and Human Rights

최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uman rights issues in business are still inherent in our society and across the world as well. And human rights problems in corporate activities exist across the levels and departments of all corporate activities, and business is required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respecting human rights in all circumstances of corporate activities. Business is also required to consider human rights in order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respecting human rights, given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violation in terms of supply chain or value added; lack of care in products or services associated with consumer human rights; influence on local community or environment; participation in human rights violation in conflict areas; human rights tasks related to UN 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dopted by the UN General Assembly in 2000;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violation. The United Nations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are a guideline without binding force or sanction, and do not constitute domestic or overseas adjudicatory norms. However, the United Nations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are a global standard for business and human rights that should be respected by all countries and companies, and are currently used worldwide as an official standard for judging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a remedy expected of compani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relevant international norms, including the 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and legal systems for implementing the business and human right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and the status of compliance with them; and to investigate the subject of human rights tasks in South Korea.

한국어

기업의 인권문제는 우리 사회 뿐만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여전히 내재되어 있으며, 기업 활동에서의 인권 과제는 기업의 모든 활동의 모든 계층·부서에 걸쳐서 존재하고 있으며, 기업은 기업 활동의 모든 상황에서, 인권을 존중하는 책임을 다하는 것이 요구된다. 공급망의 측면이나 부가가치적 측면에서 인권 존중과 인권 침해, 소비자의 인권 에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배려 부족, 지역 커뮤니티의 사회나 환경 영향, 분쟁 지역 인권 침해에 가담, 2000년 유엔특별총회에서 채택된 UN MDGs(밀레니엄 개 발목표)관련 인권 과제, 개인 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등에서도 기업은 인권 존중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인권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은 구 속력과 제재를 수반하지 않는 가이드라인으로 국내외의 재판규범이 되는 것은 아 니다. 그러나,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은 모든 나라와 기업이 존중해야 할 비즈니 스와 인권에 관한 국제기준으로서 현재, 기업에 어디까지 인권의 존중과 구제가 기대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공적 기준으로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 등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주요국의 기업과 인 권 이행을 위한 법제도 및 준수상황 등의 검토하고, 우리나라에 있어 인권 과제의 소재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UN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 및 국제사회의 동향
 Ⅲ. ‘인권에 대한 상세한 주의(Human Rights Due Diligence)’의 의의 및 필요성
 Ⅳ. 기업과 인권에 관한 각국의 법・제도
 Ⅴ. ‘기업과 인권’의 실현을 위한 국가 및 기업의 책무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혜선 Choi, Hye-Seon. 한국스포츠개발원 초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