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 문]

소위 김영란법에 관한 입법학적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최대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o-called Kim Yong-ran Act, the Act for the Prevention of Illegitimate Solicitation and Receiving of Money and Other Valuables,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3, 2015 after long-lasted hectic debates. The Act is designed to include under the purview of criminal punishment corrupt actions and actors which the pre-existing Penal Code’s bribery clauses do not cover. For example, the new Act proscribes an action of receiving mony or other valuables worth 1 million Won or more annually irrespective of their connection with public duties of a public official. The Act includes under its criminal prescription a public official’s spouse, private school teachers, and news media editors and reporters. Is it an overcriminalization or a justified action? Naturally, justification of the new legislation is important. For its rationality is already challenged in the form of constitutional complaints and others filed immediately following its passage although the date of its taking effect is provided so as for one and half years to go from the day of its public notification. No doubt, Korea’s societal necessity to combat so pervasive, serious corruption as its being listed 43rd in the International Transparency Institute announced World’s corruption perception index provides sufficient justification for the legislation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Constitution Article 37 Section 2. Corruption is reversely related with the rule of law: the more corrupt, the less law prevails.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cannot develop without predictability and stability provided by the rule of law. Perhaps the present level of corruption may be bearable enough to sustain Korea’s current state of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but cannot make her sufficient enough to cross the threshold of most advanced stage into matured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The Kim Yong-ran Act is a core element of societal restructuring so necessitated as to make Korea to cross over the threshold. The Korea’s corruption phenomenon overlaps that of personal ties and gift exchanges to a great extent. Thus it seems necessary legislatively to differentiate socially improper personal ties and gift exchanges from socially improper ones. The kind of differentiation is necessarily reflected in the new legislation. Those clauses that make a public official’s receiving of money or other valuables worth 1 million won or more annually irrespective of their connection with his or her public duties and that include his or her spouse, teachers and news media workers as an actor addressed in the new anti-corruption criminal law are examples of such differentiation. The kind of societal anti-corruption necessity to include an official’s spouse under the purview of criminal punishment should be extended further to his or her close family members such as sons, daughter, brother and sister and also to such professionals as attorneys, public accountants and medical doctors. Those conflict of interest clauses that were included in an original draft of the Kim Yong-ran Act are entirely excluded in the new law actually passed as Kim Yong-ran Act. The conflict of interest clauses should be revived in another new legislation or in a revision act. The new law that was actually passed includes an exception clause which tends to practically exonerat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entirely from its criminal anti-corruption responsibility. Those conflict of interest clauses, if revived in new legislation, would cancel out such exonerating effects toward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considerably.

한국어

공직자 등의 청렴성을 담보하기 위한 형법상의 수뢰죄조항, 공직자윤리법 등이 이미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오랜 논란 끝에 김영란법이라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지난 2015년3월3일 국회에 의해 채택 되었다. 이 법은 기존의 수뢰죄조항이 포섭하지 못했던 부정부패 행위 및 행위자 등을 형사적 처벌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공직자 등이 직무와의 관련성을 따지지 아니하고 년100만 원 이상의 금품 등을 수수하는 행위 및 공직자의 배우자, 사립교 교사, 언 론인 등도 행위자로 포섭하는 조항 등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 법은 과잉의 형사 처벌(overcriminalization) 입법이 아닌가, 아니면 이 법을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느 냐 하는 문제가 대단히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 법의 선포 후 1년 반이 지나야 효 력을 가지게 되도록 규정돼 있지만 이 법의 위헌성을 따지는 헌법소원은 곧 바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부패인식지수 43위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만연한 한 국의 부정부패로부터 헌법 제37조제2항의 요건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김영란법을 정당화할 수 있는 사회적 필요성(social necessity)을 읽을 수 있다. 부정부패현 상은 법치주의와 역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법치주의가 주는 예측가능성과 안정 성 없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발전시킬 수 없다. 현재 수준의 부정부패를 안고도 이룩할 수 있었던 민주화와 경제발전은 여기까지이며 이 수준의 부정부패가 좀 더 통제되지 않고는 결코 선진국의 문턱을 넘지 못하다. 김영란법은 이 문턱을 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핵심요소다. 한국의 부정부패현상은 한국의 인맥현상 및 선물교환현상과 상당정도로 중첩적 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만큼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인맥현상 및 선물교환 현상과 그러하지 아니한 인맥현상 및 선물교환 현상의 입법론적 차별화는 한국의 부정부패의 통제를 위해 필수다. 김영란법은 이러한 입법론적 차별화의 산물이다. 직무관련성을 따지지 아니하는 연 100만 원 이상의 금품 등의 수수 처벌조항이나 공직자 등의 배우자를 행위자에 포함시킨 조항 등은 그 예이다. 한국의 부정부패 통제의 이러한 사회적 필요성에 비추어 배우자 뿐 아니라 공직자의 직계존비속, 형 제자매도 포함시켜야 한다. 한국의 부정부패현상은 좁은 형식적 의미의 공직자만 의 현상이 아니다. 한국의 부정부패를 통제해야할 사회적 필요상은 역시 공교육을 담당하는 사립교 교사의 예에서 보듯이 국공립교 교사와의 차별화를 힘들게 만든 다. 이와 만찬가지로 한국사회의 공적영역의 하나를 담당하는 언론인을 이 법의 형 법적통제의 대상으로 포함시킨 것을 정당화하기는 어렵지 않다. 마찬가지 시각에 서 변호사, 공인회계사, 의사 등의 전문직업인들도 이에 포섭돼야 한다. 김영란법 의 원안에 있던 이익충돌의 경우에 관한 조항들은 법개정이나 새로운 입법을 통해 형법적 통제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 이익충돌관련조항의 입법화는 국회의원들에게 광범위하게 실질적으로 면책을 가능케 하는 조항(제5조2항)에 의한 김영란법의 사 실상의 무력화를 저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김영란법의 정당성의 문제
 Ⅲ. 김영란법과 인맥 및 선물(gift)의 문제
 Ⅳ. 이익충돌의 문제
 Ⅴ. 맺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대권 Dai-Kwon Choi. 서울대학교(법대) 명예교수, 한국입법학회 명예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