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혼여성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 원가족부모와의 애착, 우울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 of parental alcoholism, the familt of origin parents’ attachment, depression, problem drinking of married women’s

김한나, 최윤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arental alcoholism on married women’s problem drinking as well as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family of origin parents’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order to seek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s. For this study, it is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140 mother of primary school age children. Furthermo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the AMOS 18.0 statistic program,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of origin parents’ attachment and depression relations within the parents' alcohol addiction and married women’s problem drinking. The depression have indirect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 of origin parents’ attachment and married women’s problem drinking. The the family of origin parents’ attachment have indirect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alcoholism and depression. And The the family of origin parents’ attachment and depression have indirect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alcoholism and married women’s problem drink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trategies in order to married women’s problem drinking.

한국어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문제음주와 부모의 알코올 중독, 원가족부모와의 애착, 우울간의 관 계를 규명하여 기혼여성의 문제음주를 예방하고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 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기혼 여성 18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이 중에서 불성실하거나 잔차값이 높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1140부만이 최종분석에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이 기혼여성의 문제음주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우울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은 부모의 알코올 중독과 우울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알코올 중독은 기혼여성의 문제음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원가 족 부모와의 애착, 우울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에 대해서 논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검토
  1. 부모의 알코올 중독과 애착, 우울의 관계
  2. 애착과 문제음주와의 관계
  3. 부모의 알코올 중독과 우울, 음주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변수 및 측정방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모형의 주요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분석결과
  3. 측정모형 검증
  4. 매개효과검증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김한나 Kim Han-Na.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
  • 최윤신 Choi, Yun-Shin.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