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대국어 ‘-ㄴ가’와 ‘-ㄴ지’의 영향관계-송준길가와 송병필가 언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eunga’ and ‘-eunji’ in Premodern Korean -Comparison of Their Usage in the Handwritten Correspondence of the Song Byeong-pil and Song Jun-gil Families-

안예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usages of ‘-eunga’ and ‘-eunji’ by analyzing the handwritten correspondence of the Song Byeong-pil (SBP) and Song Jun-gil (SJG) families writte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respectively. The use of ‘-eunga’ in psych verb constructions (PVC), cognition verb constructions (CVC), and conjunctive constructions (CC) found in SBP was replaced by ‘-eunji’ in SJG;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at contributed to the replacement of ‘-eunga’ by ‘-eunji’ in each structure. PVC had noticeably preferred ‘-eunga’ since the 15th century and then started to be replaced by ‘-eunji’ after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due to the systematic changes of interrogative final endings:the development of ‘-eunga’ as a sentence final ending and the expansion of ‘-eunji’ in the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s. However, as CVC had not been used as a fixed form unitl the 18th century, the substitution of ‘-eunga’ by ‘-eunji’ seems not reflect any direct influences between two endings. Finally the use of ‘-eunga’ in CC seems to reflect the temporary influence from ‘-eunji’ in CC. They both first appeared in the 16th century letters, but only ‘-eunji’ has continued its usage as a connective ending while connective ending ‘-eunga’ fell into disuse after three centuries. Moreover, the usages of ‘-eunga’ as a connective ending was only found in handwritten letters, which reflect spoken languages. Thus the use of connective ending ‘-eunga’ is thought to be a short-lived phenomenon influenced by the expansion of connective ending ‘-eunji.’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송준길가 언간 96건(17~18세기)과 송병필가 언간 91건(19~20세기)을 중심으로 ‘-ㄴ가’와 ‘-ㄴ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송준길가 언간에 쓰인 ‘-ㄴ가’의 용례 중 후대 자료인 송병필가 언간에서 ‘-ㄴ지’로 대체된 것으로 보이는 용례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해당 구문은 심리동사 구문, 인지동사 구문, 접속문이다. 심리동사 구문은 15세기부터 ‘-ㄴ가’ 구문이 널리 쓰이다가 19세기 말 이후 ‘-ㄴ지’가 침투한 양상이 뚜렷하다. 반면 인지동사 구문은 시기가 다른 두 언간에서 확인되는 ‘-ㄴ가’와 ‘-ㄴ지’의 대응이 두 어미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를 반영한 것이라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역사자료를 두루 살펴볼 때 인지동사 구문은 18세기까지는 특정 구문 유형으로 정착되지 않다가 19세기 이후로 ‘-ㄴ지’ 구문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접속문에 쓰인 ‘-ㄴ가’는 연결어미 ‘-ㄴ지’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생겨난 용법으로 생각된다. ‘-ㄴ가’와 ‘-ㄴ지’는 16세기부터 언간의 접속문에 쓰였는데 연결어미 ‘-ㄴ지’가 현재까지 이어진 반면 ‘-ㄴ가’의 해당 용법은 3세기만에 사라졌다. 또한 ‘-ㄴ가’가 접속문에 쓰인 용례는 간본류에는 나타나지 않고 구어를 반영한 언간에만 나타나기 때문에 이는 구어의 영역에서 나타난 일시적 변화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언간에 나타난 구문 유형 개관
 3. ‘-ㄴ가’와 ‘-ㄴ지’의 영향관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예리 An, Yelee.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