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

원문정보

The Research Performance and Task of Adverb Derivation in Middle Korean

이동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several types in adverb derivation of middle Korean. These are suffix combination, conjugation of the verb and the adjective, declension of the noun and conversion of the stems. Among the suffix combination ‘Xi’ typ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It seems that ‘-i’ was basically a connective ending, not a suffix. In ‘Xi’ type advetbs, when ‘X’ is the root, the tone of ‘-i’ is low. Also when ‘X’ is the stem, the tone of ‘-i’ is high. From this we can know that that is the suffix and this originally belongs to the connective ending. In ‘Xhi’ type adverbs, when ‘X’ is the Sino-Korean word, the tone of ‘-hi’ is high. From this we can know that ‘Xhi’ type adverbs were form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Xhʌ-(stem)’ and ‘-i(connective ending)’. In ‘Xi’ type adverbs, when ‘X’ is the Sino-Korean word, the tone of ‘-hi’ is also high. So we can konw that these were formed by h-deletion after combination of the ‘Xhʌ-(stem)’ and ‘-i(connective ending)’. In ‘Xhi’ type adverbs, when ‘X’ is the Korean irregular root, which is very rare, the tone of ‘hi’ is low. So I think that it was formed by h-insertion through the analogy. In ‘Xo’ type adverbs, sometimes ‘-o’ functions like the connective ending and the tone of ‘Xo’ is high. So it seems that ‘-o’ was oringed from the connective ending. It seems that the syntactic constructions were solidified to the adverbs, in the case of the adverbs of which form is same with the conjugation of the verb and the adjective and declension of the noun.

한국어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은 접미사가 결합한 것, 용언의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진 것, 체언의 곡용형이 부사로 굳어진 것, 용언의 어간이 부사로 사용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접미사 결합형 부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X이’형이며, 이때의 ‘-이’는 원래 접미사가 아니라 어미였던 것으로 보인다. ‘X이’형 부사에서 ‘X’가 어근일 때는 ‘-이’의 성조가 평성이고 ‘X’가 어간일 때는 ‘-이’의 성조가 거성인데, 이는 전자의 ‘-이’는 접미사이고 후자의 ‘-이’는 원래 어미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X히’형 부사에서 ‘X’가 한자어일 때는 ‘히’의 성조가 대개 거성이므로 ‘X-+-이(어미)’의 구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X이’형 부사에서 ‘X’가 한자어일 때도 성조가 마찬가지여서 이때는 ‘X-+-이(어미)’에서 ‘ㅎ’이 탈락한 것으로 생각된다. ‘X히’형 부사에서 ‘X’가 고유어 불완전 어근인 경우는 극소수이지만 이때는 ‘히’의 성조가 대개 평성이어서 유추에 의해 ‘X이’형에 ‘ㅎ’이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X오’형 부사의 경우에도 ‘-오’가 어미처럼 기능하는 경우가 있고 성조도 대부분 거성이어서 ‘-오’가 원래 어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용언의 활용형과 체언의 곡용형이 부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통사적인 구성이 부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유형
 3.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석 Lee, Dongseok. 한국교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