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재난통신 체계에 따른 품질요건 재설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Re-design of Quality Requirements for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양정모, 김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reless mesh networks for public safety and disaster have been developing in a direction from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to take advantage of the Public Safety-LTE(Long Term Evolution) technology. In Korea, the Disaster Safety Network Building Project has been promoted in order to unify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among disaster response agencies. In this study, the trends of the network construction for national disaster communication and corresponding representative cases of overseas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the disaster communication area in line with the purpose of communications. As a result, the disaster communication can be divided into five distinctive areas: the control, the response, the on-site, the victim and the alarm communications. Based on the re-designed communication areas, quality requirements have also been re-organized in this study. Ultimately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without exclusion zone will be presented.

한국어

재난통신망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에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대역 이동통신 기술인 Public Safety-LTE(Long Term Evolution) 자가망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의 일원화된 통신체계 유지를 위해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난재해 현장에 위치한 피해당사자와의 통신을 고려하지 않고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 지휘통제를 중심으로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동향과 해외 선진사례를 해석하여 전 범위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고 통신주체와 목적에 따라 재난통신 영역을 새롭게 정의하여 재난통신 영역을 통제통신, 대응통신, 현장통신, 당사자통신, 경보통신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정의 된 재난통신 영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핵심 품질요건을 재설계하여 영역별 음영지역 없는 전 범위 재난통신 체계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개요
 2.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 정책 변화
  2.1 국가재난관리 종합대책
  2.2 국가통합지휘무선통신망 구축과 중단
  2.3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 조기 추진계획
  2.4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 정책변화
 3. 해외재난통신망 구축사례와 해석
  3.1 미국의 재난통신망 구축현황
  3.2 EU의 재난대응 WORKPAD 프로젝트
  3.3 호주의 Emergency 3.0 프로젝트
  3.4 노르웨이의 화학센서를 활용한 안전대책
  3.5 재난통신 체계의 미래 예측
 4. 재난통신체계 재정립과 품질요건
  4.1 통제통신 (Control Communication)
  4.2 대응통신 (Response Communication)
  4.3 현장통신 (On-Site Communication)
  4.4 당사자통신 (Victim Communication)
  4.5 경보통신 (Alarm Communication)
  4.6 재난통신 영역별 핵심 품질요소
 5. 결론
 ACKNOWLEDGMENTS

저자정보

  • 양정모 Jung-Mo Yang. 한밭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김정호 Jeong-Ho Kim.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