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the field of education has spread around the developed countries. However, in Korea, there are only experimental approaches related to Bigdata, yet for the related researches and services to appear. Therefore, it is the situation that needs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poor use of big data in the e-Learning industry, study and seek out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Bigdata has recognized large impact on e-Learning of Big Data and the more large-scale sales companies have recognized large impact on e-Learning of Big Data in the e-Learning industry. In conclusion, this study makes a proposal to expand the training and utilization policies of Bigdata relating to different sales scales.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이와 관련된 실험적 접근만이 있을 뿐 관련 연구나 현장의 서비스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닝 업계에서 빅데이터의 응용이 저조한 이유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연구와 대안 모색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구 결과, 이러닝 산업계에서는 빅데이터의 이해 수준이 높으면 빅데이터가 이러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매출 규모가 큰 업체일수록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종합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출규모에 따라 다른 빅데이터에 관한 교육 및 활용 지원 정책을 펼 것을 제언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이러닝 관련 특성
2.2 이러닝의 빅데이터 활용 특성
2.3 이러닝의 빅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3. 연구 모형 및 연구방법
3.1 연구 모형과 가설 설정
3.2 표본 설정과 자료 수집
4. 분석결과 및 해석
4.1 영향관계 분석
4.2 통계적 특성간 차이 분석
4.3 분석 결과의 해석과 함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