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한국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함으로써 국제적인 4대 스포츠 행사를 모두 유치한 국가가 되었 다. 동계올림픽이 흔히 선진국들의 잔치라고 불린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및 국가브랜드의 상승효과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선진국 진입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 는 기회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는 오래도록 탈 정치성을 표방해 왔지만 정치적⋅외교적 도구로 사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세계화에서 타국 국민에게 자국의 국가이미지를 개선시키고, 호의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데 있어 스포츠는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다. 스포츠의 정치적⋅외교적 사용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 이들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것이 아니라 개입의 적정 수준과 합리적 개입 방식을 모색하는 데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스포츠의 정치적⋅외교적 도구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 스포츠 외교의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 스포츠 외교가 향후 추구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행하고 있다. 제언으로서 한국 스포츠 외교는 한국 공공외교와의 수렴을 모색해야 하며, 평창의 드림 프로그램 은 그 좋은 실례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한국 스포츠 외교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스포츠 외교 전문기구의 수립과 스포츠 외교 관련 업무의 통합 및 단일화, 메가 스포츠 이벤트 유치에 대한 정부 차원의 조정 등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가.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
나. 아시아의 올림픽 유치 경험과 그 의미
다. 서울 올림픽과 평창 동계올림픽, 그리고 한국의 스포츠 외교
2. 스포츠의 정치적 도구성에 대한 몇 가지 시각
가. 스포츠에 대한 두 개의 일반 이론
나. 국가우위론
다. 스포츠 국제기구 우위론
라. 초국적 자본 우위론
3. 외교적 도구로서의 스포츠와 스포츠 외교
가. 스포츠의 외교적 상징성
나. 스포츠의 외교적 사용 방식
다. 국제적 스포츠 행사가 외교적 제재 혹은 관계회복의 수단으로 사용된 사례들
4. 한국 스포츠 외교의 현황
가. 한국 스포츠 외교 조직
나. 한국 스포츠 외교 인력 강화방안
다. 국제체육기구 임원 진출
5. 한국 스포츠 외교의 방향 설정을 위한 제언
가. 한국 스포츠 외교와 공공외교의 수렴
나. 공공외교 + 스포츠 외교 = 태권도?
다. 평창의 드림 프로그램
라. 정책적 제언
6.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