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부 한반도 평화와 남ㆍ북 관계

북한에 부는 ‘한류 열풍’의 진단과 전망

원문정보

박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지금 ‘전 세계적’으로 ‘한류’ 열풍이 뜨겁다. 북한도 예외가 아니다. 북한에 부는 ‘한류 열풍’은 남⋅북한의 체제 대결 속에서 비공식적 루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시장에서 이루어 지는 일반적인 ‘한류’와는 성격과 의미가 다르다. ‘한류’가 공급되는 동기의 정치성 여부를 떠나 그 효과의 정치성이 크기 때문이다. 북한 주민의 남한 영상물 향유는 북한 당국의 통제와 단속을 피해 가며 비공식 문화로 향유되고 있다. 그럼에도 일부 계층에 제한되어 있긴 하지만 전국적 현상으로 확산되고 있고, 또한 유입 주 기가 짧아지는 등 그 흐름에 가속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남한 영상물이 북한으로 유입되는 구체적 경로를 보면 북⋅중 국경지역에서 활동하는 밀수꾼들에 의해 ‘돈벌이’의 일환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정치적 동기가 아닌 상업적 목적에 의해 유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북한 당국의 단속에 도 불구하고 오히려 지속적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주민의 남한 영상물 수용 역시 정치적 동기보다는 문화수용 욕구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단기적으로 ‘체제 위기’로 연결될 가 능성은 약하지만, ‘되돌릴 수 없는 문화적 흐름’을 형성하면서 장기적으로 북한 사회의 자유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남한 영상매체를 통한 외부 정보의 유입은 북한 주민의 의식 변화를 이끄는 촉매제의 역할을 수 행하고 있으며, 또한 남한 문화와 생활을 미리 경험하게 됨으로써 남⋅북한 사회문화통합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 주민의 일상에서 점점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남한 문화의 수용을 어떻게 분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 본격적인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목차

요약
 1. ‘한류’의 개념과 기능
  가. ‘한류’의 개념
  나. ‘한류’의 영향과 의미
 2. 북한에서 ‘한류’ 현상의 전개 양상
  가.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나. 북한 ‘한류’의 주요 콘텐츠
  다. 북한 ‘한류’의 유통구조
  라. 북한 ‘한류’의 전개 양상
 3. 한류가 북한 주민에 미치는 영향
  가. 남한 영상물 시청 소감 공유의 범위 및 내용
  나. 북한 주민 의식변화의 주요 내용
 4. 한류에 대한 북한 당국의 대응
 5. 결론 및 전망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