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profession dancer’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Dance Adherenc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300 professional dancers associated in national, city and corporate organization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in 2014. Excluding survey data that do not display sincerity, a total of 280 surveys were used to draw out results.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using measurement tool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tem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tests were used. In order to test average difference, one-way ANOVA was used and to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Dance Adhere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rough such research methodology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First, there is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dance adh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ociology characteristic of the research subject. In other words, there is no difference for gender or marriage but a significance difference for the work experience. Moreov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r tendency and reinforcement but not for possibility.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professional dancer’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dance adherence. For amotivation, compliance regul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possibility, tendency and reinforcement variables all show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for internal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there is a display of positive correlation with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Thir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professional dancer’s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and its effect on dance adherence, there is partial influence. Internal motivation positively influences possibility, tendency and reinforcement. Compliance regulation negatively affects possibility and tendency. However, a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show no signification influence on possibility and amotivation, compliance regul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are not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of reinforcemen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pported that a professional dancer’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s a factor that influences dance adherence. It is considered that in order to make dancers actively and continuously participate in dancing, internal motivation has to be reinforced more and based on this positive perception on dancing should be formed to further lead to their dance adher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14 년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국, 시립 및 사단법인 단체에 남녀 직업무용수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자료수집은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 내적일관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연구대 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와 무용지속의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성별과 결혼여 부에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무용단 경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자기 결정성 동기와 무용지속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동기와 순응규제, 외 적동기에서는 가능성과 경향성 그리고 강화성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내적동기와 확인규제에서는 경향성과 가능성, 강화성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내적동기는 가능성과 경향성 그리고 강화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순응규제는 가능성과 경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동기, 확인규제, 외적동기는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고 무동기와 순응규제, 확인규제 또한 강화성에 유의미한 예측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작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무용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무 용수들이 지속적으로 무용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기 위해서는 내적동기를 더욱 강화시켜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무용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형성시킴으로서 무용지속으로까지 이어지게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표본추출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결과 및 논의
1. 직업무용수의 무용단 경력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와 무용지속의도의 차이 분석
2. 직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무용지속의도 상관관계 분석
3. 직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