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북방 영토와 고전문학”

柳麟錫의 關西地方에서의 崇華活動과 「石溪九曲歌」

원문정보

A Study on the Yoo In-seok's Admiring Activity of Confucianism in PyongAn Province and the 「SeokGyeGuGokGa」

유인석의 관서지방에서의 숭화활동과 「석계구곡가」

李相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oo In-seok emphasized and extended the academic circle for learning development and the SeoSa, a sort of private institute or school, to respect Confucian ideas and inspire the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 PyongAn Provonce. Yoo In-seok set the SeokGyeGuGok in 1902 to extend and sustain or keep awareness of honoring Confucianism among local people in Kyechon area, Pyongan Province. He made the 「SeokGyeGugokGa」, a sort of song, to remember the consciousness of respecting Confucianism. The form of the GuGokGa of the 「SeokGyeGuGokGa」 followed and imitated the 「MooIDoGa」. But the first part of song was changed into the final part and a four-line stanza of Chinese poetry was changed into the GaHaengChe, the style of song or poetry. It meant that the Yoo in-seok's song imitated the style of the Zhuxi's 「MooIDoGa」. Generally, there are explanations of names of music or poetry such as descriptions of scenery in the first and second phrase of GuGokSi(poetry) or GuGokGa(song). It is charactericsic and valu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re are the succession will of moral philosophy or ethics and the consciousness of admiring of Confucianism in the Yoo In-seok's 「SeokGyeGuGokGa」. It is meaningful that Yoo In-seok tries to advocate and enhance the consciousness of admiring confucianism among local resicents through his 「SeokGyegugokGa」 in the midst of the Japanese colony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한국어

柳麟錫(1842~1915)은 關西地方에서 學契와 書社를 통해 崇華意識을 强調擴散했다. 이는 항일의식을 제고확산하기 위한 선행전제조건이었기 때문이다. 유인석은 평안도 价川郡 石溪 지역민들에게 숭화의식을 확산하고 지속화하기 위해 1902년 석계구곡을 설정했다. 아울러 숭화의식을 뇌리에 각인시켜 망각하지 않게 하기 위해 ‘歌’의 형식에 맞춰 「石溪九曲歌」를 지었다. 「石溪九曲歌」는 九曲歌라는 형식은 「武夷櫂歌」를 본받았다. 그러나 序歌를 結歌로 바꾸었으며 絶句를 歌行體로 바꿔 朱子의 「武夷櫂歌」體를 변형했다. 또한 第1曲歌부터 第9九曲歌까지 “我坐歌一曲”식으로 ‘내가 앉아 노래를 부른다’는 뜻의 歌詞를 넣었다. 이는 유인석이 「石溪九曲歌」를 노래로 부르기 위해 지었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증거이다. 대개 구곡시나 구곡가의 경우 第1曲詩부터 제9곡시까지 9개 구곡시 제1~2구에 敍景등 曲의 명칭에 대한 설명을 담는다. 그런데 유인석은 「석계구곡가」에 도학계승의지와 승화의식을 비중 높게 담았다. 유인석의 「석계구곡가」는 조선말 일제의 침탈이 노골화해가는 시기에, 타지사람이 현지 주민에게 숭화의식을 고취앙양하기 위해 특수한 목적으로 창작한 구곡가라고 구곡문학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關西地方에서의 學契를 통한 崇華意識의 擴散
 3. 崇華意識 繼承强化의 媒介體 九曲과 九曲歌
 4. 「石溪九曲歌」의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李相周 이상주.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한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