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후변화에 따른 확률 일최대유량 산정(Ⅰ) - 유출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stimating Probable Annual Maximum Daily Streamflow on Climate Change - One the Runoff Analysis -

김형산, 맹승진, 황만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ecent increase in frequency of extreme hydrological events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especially by flood have rapidly increased in Korea. To prevent this damage, there is a need of proper flood flow designing for dams and hydraulic structures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this study annual maximum daily streamflow was computed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in next study probable annual maximum daily streamflow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Past hydrological data was collected from 83 rainfall stations and 8 weather stations situated at Geum River watershed, temperature and daily precipitation data of the RCP scenarios was extracted from the year 2014 to 2100. Average relative error during the calibration of model at Geum river watershed for the year 2006 and 2007 was 10.5% and 9.2% respectively and verification result for 2004 was 9.2%. Finally, by using the determined parameters, annual maximum flood was computed at the main points corresponding to RCP scenarios that was further utilized for computation of probable annual maximum daily streamflow.

한국어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수문사상의 발생 빈도 증가로 자연재해 횟수와 피해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자연재해 중 홍수에 의한 피해규모가 가장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댐 및 수리구조물의 적정 설계홍수량 유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일 단위 기반의 연최대홍수량을 산정하였으며, 다음 연구(2)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확률 일최대유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금강유역의 83개 강우관측소와 8개 기상관측소를 선정하여 과거 수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RCP 시나리오의 일 강수량 및 온도자료를 2014년부터 2100년까지 추출하였다. 금강유역 주요지점의 기존 관측된 강수량과 유량자료를 일단위로 구성한 후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2006년과 2007년 모형의 보정 후 지점에 대한 상대오차의 평균은 10.5%, 9.2%로 나타났으며, 2004년 검증결과 9.2%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RCP 시나리오별 주요 지점의 연최대홍수량을 추출하였으며 확률 일최대유량 산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모형의 선정
  1. 기후변화 시나리오
  2. 모형의 선정
 Ⅲ. 대상유역 및 연구방법
  1. 대상유역 선정
  2. 대상유역 현황
  3.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1. 유역분할
  2. 수문자료 구성
  3. 초기 매개변수 선정
  4. 모형의 보정
  5. 모형의 검증
  5. 시나리오별 일최대유량 산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산 Hyung San Kim. 지역건설공학과 박사후 과정
  • 맹승진 Seung Jin Maeng.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교수
  • 황만하 Man Ha Hwang.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수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