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강화 방안 - 전국 7개 광역시ㆍ도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Enhancement Plans of Safety Management of Firefighters at a Disaster Site - Focused on Recognition of Firefighters of 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

유현희, 전병순, 이주호, 양기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safety accidents of firefighters at the disaster site and to explore policy measures that can be made fire-fighting activities in a safe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empirically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safety consciousness, safety behavior and safety management measures of the firefighters.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firemen of the individual level at the disaster site, the awareness-raising of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is requir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afety behavior level, firemen have to manage intensively reinforcement of field response proactive systems,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use of safety equipment, etc. And when we evaluate safety management, we need to consider a measures such as fire personnel expansion, equipment improvement, and plan to design education and training so that you can experience re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safety management. Second, considering each age group, career level, and position and so on, junior ranks such as fire fighter and senior fire fighter need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preparedness in accidents and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fire sergeant of the middle class need to enhance attitude of safety management at ordinary time. Third, considering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re not clear. But in terms of skills, women firefighters need to be well-acquainted with risk factor of the disaster site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by grasping the problems of pre-read processing manuals of fire equipment and precautions. Finally, field centered response capacity by strictly separated the firefighting and administrative work is fully keeping and need to reinforce sustainable healthcare and safety management of firemen by installing dedicated depart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소방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직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수준 그리고 안전관리 대책에 대한 인식을 실증분석 하여 구체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첫째, 재난현장에서의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개인 수준에서는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안전행동 수준을 고려할 때, 소방공무원의 현장대응 사전 대비체계의 강화 및 안전관리 지침 사항 및 장비사용 등에 대한 집중적 관리가 요구된다. 아울러 안전관리 평가시 소방인력의 확충, 장비의 개선과 함께 실제 안전관리 교육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설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집단별로 연령, 경력수준, 직급 등을 고려할 때 소방사 등 하위직에 있어서는 안전사고의 사전예방 가능성을 인식시키고 안전관리 교육의 중요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반면, 중간 계급의 소방장에 있어서는 평상시 안전관리 태도를 제고하는 방안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셋째, 응답자의 비율 등을 고려할 때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숙련도 측면에서 여성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현장의 위험요인에 대한 사전 숙지와 소방장비 매뉴얼 및 주의사항 등의 숙지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안전사고 예방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현장중심의 소방활동과 행정업무를 엄격히 분리하여, 현장중심의 대응역량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1. 안전과 안전사고
  2. 소방활동의 환경과 소방공무원 안전관리 필요성
 III. 조사설계
  1. 자료의 수집과 방법
  2. 응답자 특성
  3. 설문문항의 구성
 IV. 실증분석 결과
  1. 응답결과의 요약
  2. 안전의식 수준에 대한 차이분석
  3. 안전행동 수준에 대한 차이분석
  4. 안전관리에 대한 평가 차이분석
  5. 분석결과의 요약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현희 Hyeon Hee Yu. 소방공무원
  • 전병순 Byung Soon Jeon.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대전광역시 소방본부장
  • 이주호 Ju Ho Lee.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 양기근 Gi Geun Yang. 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