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Minimalism-driven Visual Design for Brand Identity Design - Focused on Media Contents of Wearable Devices
초록
영어
The effects brought by the visual recognition of media content need to be enhanced, as wearable devices with diverse shapes have an inherently limited screen size. Recently, global companies such as Google and Facebook have attempted to improve visual recognition of their brand identity designs by simply making minor changes in the styles and spaces of their typography designs, which are afflicted with low effectiveness. This work proposes the a media content design methodology for wearable devices which provides optimally quantitative visual design factors with which to maximize visual recognition based on the theory minimalism for simplicity and for modeling in population studies. A questionnaire survey valid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esign scheme, showing that there is high effectiveness of visual recognition for the proposed diverse design factors (e.g., typography, color system, layout, design style, and other factors) as well as quantitative combinations.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dia content design method for wearable devices will be used efficiently in studies of the visual expression of media contents on wearable devices.
한국어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최소 스크린 사이즈라는 제약을 안고 있어, 이로 인한 미디어 콘텐츠의 시각적인 인지효과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노력으로서, 최근 Google, Facebook 등의 다수 기업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환경에서 그들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인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및 간격 단순 조정 등 소극적 변화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의 단순화와 명료화로 인한 함축적 의미 전달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 이론과 효과적인 모집단 실험 모델링을 바탕으로 하여, 최고의 인지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최적화된 정량적인 시각디자인 요소를 제안함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설문 분석 결과, 논문에서 제안한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 (타이포그래피, 컬러, 레이아웃, 디자인 스타일 등)과 정량적 조합에 따라 높은 인지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자인 방법론은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의 시각적 표현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해와 환경
2.2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특성
3. 논문의 설계
3.1 모집단 실험을 통한 예비 연구
3.2 연구의 절차
4. 분석 및 결과
4.1 타이포그래피의 검증 결과
4.2 컬러의 검증결과
4.3 레이아웃의 검증결과
4.4 디자인 스타일의 검증결과
4.5 전체 디자인 요소의 검증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