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金代 塼彫墓의 주택 재현 연구 - 山西 稷山 馬村 金墓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Jin Dynasty Brick Tomb Made by Imitating the House – Focused on Ma Village Jin Tomb in Shanxi Province

김대 전조묘의 주택 재현 연구 - 산서 직산 마촌 금묘를 중심으로

백소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anxi province known as the live museum of Chinse ancient architecture also has over one hundred of Song and Jin Dynasty brick tombs underground. Many of them imitate the structure and façades of wood structures found above ground and reproduced these to create an underground house for the dead. Ma village Jin tomb known as the greatest masterpiece of Jin brick tombs was researched in this paper. The Chinese have a belief that the tomb was the house for the dead for a long time. They decorated the tombs with carved stones or clay bricks which imitated wooden structural components of houses found above ground. This tradition began in the Han dynasty. In the Tang dynasty, the imitated components were used partially and independently. But since the Song dynasty, tombs began to adopt whole façades of wood structure buildings on chamber walls and each imitated component began to be integrated into a systemic order. The chamber wall was organized with platforms, columns and a roof just like the façade of a wooden structure building. Each component was also made to look like real wooden components but made with carved clay bricks. Since the Jin dynasty, tombs began to express a whole courtyard house in the chamber. First, the chamber plans changed from hexagon or octagon to rectangle; then the four chamber walls began to represent specific buildings like the main hall,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buildings and the opera pavilion surrounding the courtyard of the house found above ground.

한국어

산서성 직산 마촌에서 발견된 금대 단씨 씨족묘는 묘실들의 벽면에 정밀하게 가공된 전돌을 사용하여 지상 건축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우리가 중국과 한국의 공통된 전통이라 믿는 음택풍수의 추상적 陰宅 개념과는 다르게,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산자의 주택인 陽宅을 모방하여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직산 마촌 금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산서성 남부와 하남성 일대 금대 塼彫墓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당시 이 지역의 무덤에 대한 독특한 인식과 예술세계를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직산 마촌 금묘로 대표되는 산서지역 금대 전조묘들이 어떠한 설계의도와 구법으로 전돌이라는 반영구적 재료를 이용해서 지상의 목조건축을 모방 재현하였는지 분석하고, 이렇게 독특한 무덤이 출현할 수 있었던 배경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원래 목조인 건축부재를 전돌로 번안하는 과정에서, 무덤을 만든 塼瓦匠은 본인의 고유영역 뿐만 아니라 대목작과 소목작을 포괄하는 폭넓은 건축지식과 정밀한 전조공예를 기반으로 놀라울 정도로 사실적으로 각 부재를 재현하였다. 묘실 안에 재현된 건축부재들은 하나같이 화려하고 장식성이 강한 금대 목조건축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하나의 묘실은 하나의 주택을 의미한다. 묘실의 동서남북 벽면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의 건축군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건축군은 바로 합원식 주택의 전반부인 정당 영역에 해당한다. 단, 건축부재와 건축군 배치가 극히 사실적인 것과는 달리 건축의 전반적인 형식은 실제 서민의 주택이 아닌 왕공의 궁전에 버금갈 정도로 화려한데, 이는 고대의 고유한 厚葬풍습에 기인한 것이다. 셋째, 직산 마촌 금묘의 출현은 음택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극사실주의적으로 실체화 시킴으로써 중국 음택 예술의 흥미로운 단면을 보여준다. 이러한 걸작이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한대부터 꾸준히 계승되어온 음택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묘실보다는 부장품, 석곽 등을 매개체로 지상의 주택을 재현하였는데, 금대에 이르러 극도로 발달된 전조공예와 시공기술을 기반으로 묘실 자체를 온전한 주택의 모습으로 표현해는데 성공한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1. 선행연구 고찰
  2. 논문구성 및 연구방법
 Ⅱ. 稷山馬村金墓각 묘실의 陽宅재현 분석
  1. 직산 마촌 M2 묘실
  2. 지산 마촌 M1 묘실
  3. 직산 마촌 M3~M5 묘실
  4. 직산 마촌 금묘와 지상 주택과의 관계
 Ⅲ. 金代塼彫墓의 출현 배경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소훈 Baik, Sohun.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