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東洋書畵 '不似之似'의 形神論的 고찰

원문정보

Oriental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dissimilar similarity

동양서화 '불사지사'의 형신론적 고찰

김응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riental art is traditionall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ngs through the shape, the shape is finite, but think that holds the infinite spirit in its shape. This is a unique view of mind and body of Asians coming down from ancient times. This paper was discussed from three perspectives around the resemblance. The first is theory to venerate the figuration biased in shape. The second is spiritualism biased in spirit such as ‘Chuan shen(傳神)’ or ‘Qi yun(氣韻)’. Third is the holistic theory of dissimilar similarity covering both figuration and spirit. In the theory of figuration and spirit, soul is related to the life spirit. From the sixth patriarch to early Tang dynasty, it was emphasized by imitating spirit from the shape, in Tang dynasty, it emphasized on forsaking the shape, imitating spirit and tended to emphasize spirit by estranging the shape. The view of figuration and spirit emerged in this point, appeared to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If it has Qi yun , but if there is no basis for shape, solid qualities(質) this would precedes accomplishment(文), even if it becomes shape, if it has no Qi yun, accomplishment(文) precedes the solid qualities(質). Therefore, bo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are important. Dissimilarity does resemble the shape, similarity resemble the mind. Therefore, this paper was discussed that the subtlety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precisely exists between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한국어

동양예술은 전통적으로 형상을 통하여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려하며, 형상은 유한하지만 그 형상 속에 무한한 정신을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동양인들의 독특한 形神觀이다. 본고는 似를 중심으로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形似에 치우친 貴形論이다. 둘째는 傳神이나 氣韻과 같은 神似에 치우친 重神論이다. 셋째는 形似와 神似, 모두를 아우르는 不似之似의 形神兼備論이다. 형신론에서 神은 생명정신과 관련이 있다. 六朝에서 初唐까지는 以形寫神을 강조하였고, 唐은 遺形寫神을 강조하여 形을 멀리하고 神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점은 明ㆍ淸시기, 似와 不似로 나타나면서 不似之似의 形神觀이 출현한다. 氣韻이 있으나 形似의 기초가 없으면, 質이 文보다 앞서는 것이고, 形似는 되었지만 氣韻이 없으면 文이 質보다 앞서는 것이다. 따라서 不似와 似는 모두 중요하다. 不似는 형태를 닮지 않는 것이고, 似는 정신을 닮는 것이다. 따라서 서화의 妙는 바로 似와 不似의 사이에 존재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以形得似의 貴形論
 Ⅲ. 遺形寫神의 重神論
 Ⅳ. 不似之似의 形神兼備論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응학 Kim, Eung-hak.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