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Graphic elements, e.g., bar and histogram, have been widely utilized as a tool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the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of spatial statistics data. Meanwhile, conventional thematic map such as choropleth and flow maps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fficient visualization method in discov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attern of georeferenced statistics data. However, the interest of linked micromap (LM), first proposed in statistics academia, is being grown as an useful method for EDA recently. This research implemented the LM with R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visualize spatial statistics data information of Seoul Metropolitan City, and it provided some results of LM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distinct features of LM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thematic maps. LM-based visualization is anticipated to gather more interests in many academic fields due to it’s functional ability to minimize information loss of spatial statistics data.
한국어
막대나 히스토그램과 같은 그래픽 요소는 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을 위한 정보 시각화 도구로 자주 활용되어왔다. 이에 비해 단계구분도나 유선도와 같은 전통적 주제도는 지리참조된 통계자료의 공간 분포 및 패턴 분석을 위한 유용한 시각화 기법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통계학 분야에서 최근 제안된 연결형 마이크로맵은 공간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화 도구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생산된 공간통계자료를 시각화할 수 있는 연결형 마이크로맵을 R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존 주제도와 차별적인 연결형 마이크로맵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결형 마이크로맵은 전통적 주제도의 한계를 해결하고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각화 기법으로서 그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I. 연구방법 및 자료
III. 연결형 마이크로맵 구현 결과
IV. 토의
註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국토지리정보원, 2015,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토교통부.
- 2The Roles of U.S. Census Bureau to the Development of GISearticle 원문 이동
- 3통계정보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통계지도 제작방안네이버 원문 이동
- 4Stata를 이용한 통계지도 작성법 (1)네이버 원문 이동
- 5Stata를 이용한 통계지도 작성법 (2)네이버 원문 이동
- 6Generating Countable Symbol Maps and Semi-circle Symbol Maps Using Attribute Data Manipulationearticle 원문 이동
- 7박세진・안정용, 2013, “연결형 마이크로맵 도표를 활용한데이터 시각화,” 통계연구, 18(2), 111-127.
- 8이건학・최은영, 2011, “센서스 GIS와 지리통계시스템의 구축,” 통계연구, 16(2), 1-21.
- 9Cart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ps in the French Statistical Graphic Album of the Last Half of the 19th Centuryearticle 원문 이동
- 10A Study on Themes Selection and Visualization Methods for the Digital National Atlasearticle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