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유럽 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 지명 표기의 변천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volution of Korean Place Names Marked in Modern European Maps

박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quality and quantity of Korea-related geographic information marked on the modern European maps increased when the Huangyu quan lan tu (Atlas of the Chinese Empire)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Europe by D’Angvil. Since the late 18th century, the findings from coastal and waterway survey by France, the UK and Russia were reflected in the maps, as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shape of the peninsula and place names became richer. In particular, the exploration by the European ships on coastline and islands resulted in large increase of exotic place names following their native languages. Place names in earlier maps were romanized after Chinese pronunciation, however, introduction of 「Chosonjeondo」 drawn by St. Kim Taegon Andrea seem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spread of place names with faithful Korean pronunciation to Europe. The map of Stieler (1872) is the firm evidence of that trend. The spread of English representation was the contribution of both diplomats Ernest Sato and Koto Bunjiro who wrote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한국어

근대 유럽 지도에 나타난 한국 관련 지리정보는 중국이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를 발간하고 이 지도가 당빌에 의해 유럽에 번역‧소개되면서 질적·양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18세기말부터 프랑스, 영국 및 러시아 등에 의한 해안 및 수로조사 결과가 반영되면서 한반도 모양을 비롯한 지리정보의 양과 질이 풍부해지는 계기가 된다. 특히 서양 탐사선에 의한 해안선 및 도서지역 탐사는 선박의 국적에 따라 그 나라 언어로 지명을 부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에 중국어 발음으로 표기되던 우리나라와 관련된 지명은 김대건 신부에 의해 한국어 발음의 프랑스어로 제작된 「조선전도」가 유럽으로 전파된 시점을 기해 각국의 지도에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1872년의 스틸러의 지도에서 대부분 우리나라 발음으로 지명이 표기된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식 표현의 확산은 일본주재 외교관이었던 어네스트 사토우와 「한반도 산맥도」를 저술한 고토분지로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확인된다.

목차

I.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II. 우리나라 지명 표기 확산의두 가지 경로
 III. 지리정보의 로마자화 과정과 한반도모양의 변화 과정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경 Kyeong Park.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 지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